단기(최근 6개월) 아파트 건설 하자 판정 1위는 HJ중공업, 장기(5년) 누적 1위는 GS건설로 나타났다. 최근 6개월과 5년 누적 하자 건수를 비교한 결과, 일부 건설사는 단기 급증형(HJ중공업), 일부는 장기 고질형(GS·계룡·대방건설)으로 나타났다. 제일건설·대우건설 등은 두 기간 모두 상위권에 포진해 꾸준한 하자 발생이 드러났다. (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국토교통부가 20일 공동주택(아파트·연립·다세대 등)에서 하자 판정이 많은 건설사 20곳을 공개했다. 지난 3월부터 8월까지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접수된 하자 분쟁은 3,118건에 달했으며, 이 중 실제 하자로 판정된 사례가 2,000건 이상으로 확인됐다.
◆ HJ중공업 154건 ‘최다’…제일건설·순영건설·대우건설 순
하자판정 건수 1위는 HJ중공업(154건)으로 나타났고 제일건설, 순영종합건설, 대우건설 등이 뒤를 이었다. GS건설·대우건설·현대건설 등 대형사도 명단에 포함되면서 “브랜드 아파트도 예외가 아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 국토부는 “명단을 지속 공개해 하자 예방과 보수 책임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하자심사분쟁조정위원회에 따르면 올해 8월까지 하자 심사, 분쟁 조정, 재정 등을 포함한 하자 사건 처리 건수는 총 3,118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예년 평균(4,500건 내외)과 비슷한 수준이다. 입주민이 제기한 하자 중 실제 하자로 인정된 비율은 67.5%에 달해 “입주 직후부터 품질 문제를 겪는 경우가 상당하다”는 평가가 제기된다.
최근 6개월(3월~8월) 기준 하자판정 건수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HJ중공업으로 154건을 기록했다. 제일건설(135건), 순영종합건설(119건), 대우건설(82건), 혜우이엔씨(71건)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순영종합건설은 건수뿐 아니라 세대수 대비 하자 비율(71.3%)에서도 상위권에 올랐다.
◆ 지난 1~4차 발표 보니…‘고정 상위’와 ‘신규 진입’ 공존
국토부는 지난 2023년부터 '하자 다발 건설사 명단'을 총 4차례 공개해왔다. 이번 발표는 5차 공개다. 지난 4차(올해 3월) 발표와 비교했을 때 상위권 건설사 중 일부는 그대로 유지되고, 일부는 새롭게 진입했다.
GS건설·대우건설·계룡건설산업 등은 3차·4차에 이어 이번에도 포함되며 ‘하자 상위권의 고정 멤버’로 자리 잡았다. 반면 HJ중공업은 과거 중위권 수준이었으나 이번에 처음으로 1위로 올라섰고, 순영종합건설도 기존에는 비율 위주 상위였다. 이번에는 ‘건수+비율’ 모두 상위권에 올랐다.
건축·건설학계 관계자는 "같은 건설사가 반복적으로 상위에 오르는 현상과 동시에 새로운 문제 업체도 계속 등장하고 있다"며 "명단 공개가 단순 경고에 그치지 않고 품질 개선으로 이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 대형사도 예외 없어…GS·대우·현대 모두 포함
이번 명단에는 중소업체뿐 아니라 대형 건설사도 다수 포함됐다. 최근 5년(2020년 9월~2025년 8월) 누적 하자판정 건수 기준 1위는 GS건설(1,413건)로 나타났다. 계룡건설산업(605건), 대방건설(503건), 대명종합건설(346건) 등이 뒤를 이었다.
현대건설도 270건의 하자판정을 받았다. 시민단체들은 “브랜드만으로 품질을 보장받기 어렵다”고 비판하고 있다.
◆ 중소건설사 ‘비율’이 더 심각…수백~수천% 기록도
하자 ‘건수’와 달리 ‘세대수 대비 하자 비율’에서는 중소규모 건설사들이 상위권을 차지했다. 최근 6개월 기준 하자판정 비율 1위는 두손종합건설로 125.0%를 기록했다.
5년 누적 기준으로는 지우종합건설이 2,660.0%를 기록해 세대수보다 하자가 훨씬 많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토부는 “소규모 업체일수록 시공 관리 역량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 기능불량·들뜸·균열…반복되는 대표 하자 유형
최근 5년간 하자 유형을 보면 기능 불량(15.1%), 들뜸 및 탈락(13.6%), 균열(11.0%), 결로(9.8%), 누수(7.1%) 순으로 많았다.
조명 주방후드 위생설비 등이 정상 작동하지 않거나 타일·도배가 들뜨는 사례는 입주 초기 가장 자주 발생하는 불만 유형이다.
국토부는 지난 2023년부터 하자 다발 건설사 명단을 정기적으로 공개하고 있다. 김영아 주택건설공급과장은 “지속적인 명단 공개는 건설사가 하자를 사전에 예방하고 보수에 적극 대응하도록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며 “소비자에게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 합리적 선택을 돕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앞으로 하자 판정 세부 내역과 보수 이행 실적까지 공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