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아파트 단지 전경. 최근 성동·마포 지역의 아파트값 상승세가 두드러지며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사진=하우징포스트DB)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서울 아파트 시장이 국지적으로 다시 꿈틀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전체가 오르는 것은 아니지만, 일부 지역이 이달 들어 상승폭을 키우고 있다.
이달 들어 2주간 성동구는 0.41%, 마포구는 0.28% 오르며 '주간 상승 최고치'를 기록했다. 신고가 거래도 이어지면서 추가 규제,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 가능성이 시장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 성동·마포 상승세, 규제 논의 불가피?
한국부동산원 주간 통계에 따르면 9월 셋째 주(15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대비 0.12% 올라 3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다.
특히 성동구(0.41%)와 마포구(0.28%)는 9월 들어 최고 상승률을 기록하며 서울 평균 상승률을 크게 웃돌았다. 성동구 행당동 서울숲리버뷰자이 전용 84㎡가 25억3,000만원에, 마포구 아현동 마포래미안푸르지오 전용 84㎡가 24억7,500만원에 거래되는 등 신고가 계약도 이어졌다.
서울시는 지난 17일 도시계획위원회 심의에서 강남3구와 용산에 대해 토허구역을 1년 3개월 연장했으나, 성동과 마포는 제외됐다. 시장에서는 이들 지역의 상승세가 지속될 경우 추가 지정 가능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확산되고 있다.
부동산중개업계는 "9·7 대책으로 국토부 장관의 토허구역 지정 권한이 확대된 만큼, 상황에 따라 정부가 직접 나설 여지도 있다"고 분석했다.
◆ 확대론과 신중론 엇갈려…관건은 거래량
시장 해석은 양쪽으로 갈린다. 일부는 성동·마포의 상승세가 이어질 경우 토허구역 지정이 불가피하다고 본다. 양지영 신한투자증권 수석은 “토허구역 지정 가능성을 크게 본다”며 “정부가 9·7 대책으로 큰 그림을 그렸다”고 말했다.
반면 신중론도 있다. 거래량이 많지 않고 특정 지역에만 집중된 흐름이라는 점에서 규제 확대는 성급하다는 주장이다. 주택개발업계 관계자는 “거래량이 많지 않고 일부 지역에 국한돼 있어 일괄 묶기는 불합리하다”며 “규제 확대의 근거가 충분한지는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부동산개발협회 등 공급측 관계자들은 "6·27 대출규제에 시장이 적응하며 현금 위주 매수가 늘었지만, 거래가 위축된 상태에서 국지적 상승이 이어지는 만큼 규제 확대가 합리적인지 여부는 신중히 따져야 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아파트시장 #성동구아파트 #마포구아파트 #토지거래허가구역 #6·27대출규제 #9·7대책 #시장분석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