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9월 22일~10월 17일을 ‘추석 택배 특별관리기간’으로 지정하고 인력 추가 투입과 과로 방지 대책을 시행한다. (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국토교통부가 추석 명절을 앞두고 택배 물량 급증에 대응하기 위해 22일부터 내달 17일까지 ‘추석 택배 특별관리기간’을 운영한다. 택배기사 과로 방지와 원활한 배송을 동시에 추진한다는 방침이지만, 업계 내부에서는 노동환경 격차 논란도 커지고 있다.

국토부는 올해 추석 성수기 택배 물량이 평소보다 13.5% 늘어난 2억320만 박스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CJ대한통운, 한진, 롯데 등 주요 택배사는 간선차량 기사 2,000명, 배송기사 1,100명, 분류인력 2,400명 등 총 5,500명을 긴급 투입한다.
연휴 직전에는 집화를 제한해 기사들의 휴식을 보장하고, 영업점별로 건강관리자를 배치해 매일 근로자의 건강 상태를 점검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특별관리제는 2021년 6월 노·사·정 사회적 합의 이후 도입돼 매년 명절마다 시행돼 왔다.

하지만 업계 동향은 엇갈린다. CJ대한통운, 한진, 롯데 등 대형사는 올해 추석 연휴 기간 최소 3일 이상의 휴무를 시행하기로 했다. 반면 쿠팡은 ‘365일 로켓배송’을 내세워 단 하루도 휴무를 보장하지 않아 논란이 커지고 있다.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는 18일 서울 광화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쿠팡 노동자 1만9,000여 명은 명절에도 가족과 함께할 권리를 보장받지 못한다”며 “최소 3일의 휴식은 보장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현장 노동자들은 “명절 하루만이라도 가족과 보내고 싶다”는 호소를 이어가고 있다.
시민단체 역시 “소비자는 단순히 빠른 배송만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며 안전한 노동과 공정한 경쟁, 지속 가능한 사회를 함께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정부의 특별관리제가 제도적으로는 의미가 있지만, 업계 내 과도한 경쟁 구조가 개선되지 않으면 실질적 효과는 제한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국토부는 소비자들에게도 협조를 당부했다. 주문을 가급적 분산해 달라는 것이다. 김근오 물류정책관은 “명절 기간 일부 배송 지연이 있더라도 따뜻한 마음으로 양해해주시고, 사전 주문을 통해 물량을 나눠 주시면 기사들의 과로를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된다”고 말했다.

#추석택배 #특별관리기간 #택배기사휴식권 #쿠팡로켓배송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