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수동 공장부지, 역대 최고가 경매 낙찰 현황 (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서울 성동구 성수동 한복판의 공장 대지가 '국내 부동산 경매 역사상 가장 비싼 가격'에 낙찰되며 기록을 새로 썼다. 반면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은 6.27 대출규제의 여파로 올해 들어 가장 저조한 성적을 거두며 극명한 온도차를 드러냈다.
지난달 25일 서울동부지방법원에서 진행된 경매에서 성수역 2번 출구 인근 4,272㎡ 규모의 공장 대지가 2,202억 100만 원에 낙찰됐다.
낙찰자는 복사기 제조업체 신도리코로, 단독 응찰을 통해 성수동 2가 일대 3개 블록을 모두 확보하게 됐다. 해당 부지는 기존에 공장과 사무실, 창고 등으로 사용돼 왔다. 소유자 19명과 임차사 10여 곳이 얽힌 복잡한 권리관계 속에서 공유물 분할 소송 끝에 경매로 나왔다.
이번 낙찰가는 국내 경매 시장에서 단일 물건 기준 최고가다. 종전 최고가는 2021년 강남구 논현동 빌딩 낙찰가 1,055억 원으로, 성수동 낙찰가는 이보다 두 배 이상 높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과거 감정가 기준으로는 조 단위까지 나온 사례가 있었지만, 실제 낙찰가가 2,000억 원을 넘긴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국내 경매 시장에서 상징적인 사건”이라고 평가했다.
8월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 현황. (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은 ‘찬바람’
같은 달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은 급격히 냉각됐다. 지지옥션에 따르면 8월 서울 아파트 경매는 총 221건 중 89건만 낙찰돼 낙찰률 40.3%를 기록했다. 이는 전월 43.4%에서 3.1%포인트 떨어진 수치로, 올해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다.
특히 강남구는 18건 전부 유찰되며 낙찰률 0%를 기록했다. 서초구와 송파구 역시 각각 9건 중 5건만 낙찰되는 등 강남 3구 전반의 낙찰률이 급격히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6.27 대출규제로 경락자금대출 한도가 최대 6억 원으로 제한되면서, 경매 참여자들의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반면 성동구·동작구 등 한강변 단지나 재건축 추진 단지처럼 투자 가치가 높다고 평가되는 일부 지역에서는 현금 유동성이 풍부한 수요자들이 몰리며 고가 낙찰이 이어졌다.
부동산 경매업계에서는 “금융 규제가 강화되면서도 현금 유동성을 보유한 일부 투자자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며 “향후 경매시장은 양극화가 더욱 심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성수동 #경매최고가 #신도리코 #서울아파트경매 #6·27대출규제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