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전국 민간아파트의 최근 1년 기준 평균 분양가가 처음으로 3.3㎡당 2천만원을 넘어섰다. 그러나 이는 서울과 수도권에서 공급된 고분양가 단지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평균값이라는 분석이 많다. 지방의 분양가는 여전히 평당 1천만~1천5백만원대가 중심을 이루고 있어 실제 시장 흐름과 평균값 사이에 간극이 커졌다는 지적이다. 이 때문에 주택시장 수요자와 공급자들은 크게 혼란스러워하고 있다.

◆ 전국 평균 아파트 분양가 2천만원 시대?
주택도시보증공사(HUG)가 18일 공개한 민간아파트 분양가격 동향에 따르면 최근 1년간 전국 민간아파트의 '㎡당 평균 분양가격은 605만2,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를 3.3㎡당(평당) 기준으로 환산하면 2,000만6,000원이다.
전월 대비 2.47%, 전년 동월 대비 5.09% 상승한 수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지역별 편차가 큰 시장에서 이같은 평균값 공개는 시장 상황을 이해하는 데 엄청난 혼선을 부른다고 지적한다. 지역별 상승·정체·하락 흐름이 모두 평균값에 묶이면서 커다란 '구조적 왜곡'이 나타날 수 있어서다.

서울 도심 아파트 밀집 지역 전경. 최근 ‘전국 평균 평당 2천만원’ 통계가 발표됐지만, 실제로는 서울과 일부 수도권 고가 단지가 전체 평균을 끌어올린 결과라는 지적이 나온다. 지방 대부분은 여전히 평당 1천만원대에 머무는 상황이어서, 이런 시장과 동떨어진 '평균값 통계'가 수요자 혼선을 키우고 통계 신뢰도까지 떨어뜨린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사진=하우징포스트 DB)

◆ 서울·수도권 고분양가 단지가 평균값 끌어올려
서울의 ㎡당 평균 분양가는 1,422만6,000원으로 나타났다. 3.3㎡당으로는 4,703만원 수준이다. 최근 공급된 서울 주요 단지의 분양가가 예년보다 크게 상승한 점이 전체 평균을 끌어올린 대표적인 요인으로 꼽힌다.
서초구 ‘반포 래미안 트리니원’은 전용 84㎡ 기준 분양가가 26억~27억원으로 책정됐다.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된 단지임에도 이례적으로 높은 금액이 책정됐다는 평가가 있었다. 동작구 사당동 ‘힐스테이트 이수역 센트럴’ 역시 주택형별 일반분양가가 최고 22억원대까지 형성되면서 주목을 받았다.
수도권 지역에서도 고분양가 단지가 연달아 등장했다. 성남시 분당구의 ‘더샵 분당티에르원’, 광명시의 ‘힐스테이트 광명’ 등은 서울 접근성이 높고 선호도가 높은 입지라는 이유로 이전 대비 높은 분양가가 책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단지들이 최근 1년간 HUG 분양보증 실적에 포함되면서 전국 평균값을 끌어올린 구조가 형성된 것이다.
HUG는 작성 기준월을 포함한 최근 12개월간 분양보증이 발급된 민간 분양 단지를 기준으로 평균 분양가를 산출한다. 이 때문에 특정 시기에 고가 단지가 집중될 경우 전국 평균이 단기간에 크게 상승하는 결과가 나타난다.

◆ 지방 분양가, 정체·하락세…"평균 분양가와 큰 격차"
광역시·세종의 평균 분양가는 ㎡당 658만1,000원(평당 2,175만원), 기타 지방은 평당 1,412만원 수준으로 조사됐다.
기타 지방은 전년 대비 5.32% 하락해 수도권과는 '정반대 흐름'을 보였다. 대구·부산·광주 등 일부 지역은 미분양 재고가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 이어지면서 분양가격이 상승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전국 평균 2천만원”이라는 표현은 실제 전국의 체감 분양가와는 거리가 너무 크다는 비판이 일고 있다. 수도권 고가 단지 통계 전체를 구분없이 묶어서 계산하는 방식은 주택시장 통계 불신 조장은 물론 수요자들에게 큰 혼선을 줄 수 있어서다.

◆ “중위값·지역 분포 추가 필요”…계산·발표 방식 보완 시급
전문가들은 서울과 지방간 분양가 편차가 극심해진 상황에서 이같은 통계 산출 방식은 개선이시급하다고 지적한다. 부동산학계에서는 “고가 단지 영향이 큰 시장에서 평균값만 보면 실제보다 과열된 것처럼 보일 수 있다”며 "중위값, 지역별 분포, 물량 가중치 등을 함께 제시하는 방식으로 집계하고 공개해야한다"고 주장한다. 또한 "주택시장에서는 분양가가 사회적 논쟁을 유발하거나 정책 판단의 근거가 되는 만큼 통계의 해석과 설명을 보다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아파트 #분양 #평당분양가 #HUG통계 #전국평균2천만원 #서울고분양가 #수도권분양시장 #지방분양가 #부동산시장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