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6·27 대출규제 이후에도 서울 아파트 매수 시장의 중심이 30대로 이동하고 있다. 10·15 대책이 발표되기 직전인 9월, 서울에서 거래된 아파트 10건 중 4건의 매수자가 30대로 나타나 4년 만에 최고 비중(36.7%)을 기록했다. 대출규제 강화로 40대 이상의 거래가 위축된 반면, 생애최초·무주택 특례대출 등 정책금융이 유지되면서 30대의 매수 여건이 상대적으로 유리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지난 9월 서울 아파트 거래에서 강서·관악·성동 등 중저가 지역을 중심으로 30대 매수세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도심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매입자 연령대별 아파트 매매거래 현황’에 따르면, 9월 서울 아파트 매매건수는 6,796건으로 이 가운데 30대 매수자는 2,493건(36.7%)을 차지했다. 이는 2021년 9월(38.9%) 이후 4년 만의 최고 수준으로, 올해 들어 매달 30% 안팎에 머물던 30대 비중이 뚜렷하게 상승한 결과다.
반면 40대 매수자는 1,863건(27.4%), 50대는 1,099건(16.2%)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6·27 대출규제로 다주택자와 고가주택 매입자의 여신이 제약된 반면, 무주택자와 생애최초 구입자에게는 특례대출이 유지된 점이 30대 매수세를 강화했다”고 분석한다.

◆ 강서·관악·성동 등 중저가 지역 중심으로 확산
지역별로는 강서구가 48.0%로 30대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관악구(46.1%) ▲성동구(45.5%) ▲은평구(43.0%) ▲영등포구(42.8%) ▲서대문구(41.7%) ▲성북구(41.3%) ▲동대문구(41.0%) ▲구로구(40.3%) ▲중구(40.0%)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들 지역은 10·15 대책 이전까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았거나 규제가 비교적 완화된 중저가 지역으로, 전세를 끼고 매수하는 ‘갭투자형 실수요 거래’가 활발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반면 강남구(24.2%)·서초구(25.0%)·송파구(30.0%)·용산구(23.5%) 등 고가 아파트 밀집 지역에서는 30대 매수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 “지금 아니면 늦는다”…30대 실수요 거래 지속
시장에서는 ‘지금 아니면 늦는다’는 조급심리가 30대 매수세를 자극한 것으로 보고 있다. 6·27 대출규제 이후에도 서울 아파트값이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자, 가격 추가 상승에 대한 불안감이 작용했다는 것이다.
부동산중개업계는 “금리 부담이 여전하지만, 정책금융 접근성과 상대적 가격 메리트가 있는 지역 중심으로 30대의 실수요 거래가 이어지고 있다”고 평가했다.
다만 거래량 전체가 회복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보기는 이르다. 주택개발업계는 “대출 규제와 고금리 환경이 지속되는 한, 30대의 활발한 매수세도 정책지원 한계 내에서 움직이는 수준에 그칠 것”이라며 “시장 전환을 판단하기엔 아직 이른 단계”라고 진단했다.

#서울아파트 #30대매수세 #6·27대출규제 #생애최초대출 #부동산원통계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