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병운 (사)한국기업회생협회 회장

[하우징포스트=유승찬 기자]
(사)한국기업회생협회(회장 윤병운·이하 한기협)가 한계기업의 재도전을 돕기 위한 새로운 회생지원 모델 ‘RE-챌린지(RE-Challenge) 프로젝트’를 제안했다.
한기협은 12일 “지방정부와 경제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민관 협력형 회생지원 모델을 마련해, 실질적 기업 재도전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한기협은 2014년 법무부 인가를 받은 비영리단체로, 위기관리 자문과 회생기업 투자, M&A 지원 등 중소기업 회생 업무를 수행해왔다.
윤병운 회장은 “코로나19, 글로벌 경기침체, 지정학적 불안 등으로 중소기업의 유동성 위기가 장기화되고 있다”며 “정부 정책만으로는 회생 속도가 더디기 때문에 지방정부 차원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 지방정부·경제단체 협력형 회생지원 모델
한기협이 기획한 ‘RE-챌린지 프로젝트’는 지방정부가 5억~20억 원 규모의 회생기금을 조성하고, 관내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위기관리 교육과 재도전 컨설팅을 제공하는 방안을 담고 있다.
특히 법원으로부터 회생 인가를 받은 기업에는 연 1~3% 저리로 3,000만~1억 원 규모의 DIP(채무자 인수금융, Debtor In Possession Financing) 을 2년간 지원해 지속경영을 돕는 방식이다.
이 자금은 원자재 구매와 운영비 조달 등 기업의 유동성 확보에 사용돼 매출 회복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목표로 한다. 한기협은 “지방정부의 재정 부담은 크지 않지만, 지역 기업의 회생과 고용유지에는 실질적 효과가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 국가경제 안정화·지역경제 활성화 효과
한기협은 이 모델이 국가경제 안정화와 일자리 유지,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내다봤다. 지방정부 입장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 ▲세수 확대 ▲고용 안정 ▲산업생태계 보전 등 부수효과가 기대된다.
윤 회장은 “지방정부가 큰 예산을 들이지 않고도 지역 기업의 회생을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이 될 것”이라며 “지방정부, 경제단체, 금융기관이 협력하면 전국 확산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 민간이 먼저 제시한 상생형 회생플랫폼
윤 회장은 “‘RE-챌린지 프로젝트’는 민간이 먼저 제시하고 지방정부가 함께 추진할 수 있는 상생형 회생플랫폼”이라며 “SGI서울보증보험, 무역보험공사, 지역신용보증재단, 기술보증기금 등 금융기관의 참여를 통해 지속 가능한 회생생태계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한계기업의 재도전 성공은 일자리 창출, 세수 확대, 산업 경쟁력 강화로 이어진다”며 “지방정부와 민간이 함께 나설 때 국가 전체의 회복탄력성이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RE챌린지 #기업회생 #한기협 #윤병운 #중소기업지원 #지방정부협력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