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행복공간 전환의 대표 사례인 서울공예박물관. 옛 풍문여고 건물을 리모델링해 열린 문화·휴식공간으로 재탄생했다. (사진=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국토교통부가 지방소멸 위기를 막고 국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전략을 본격화한다. 전국 6,657개 건축자산을 문화·관광 거점으로 재생하고, 도서관·주민센터 등 공공건축을 국민행복공간으로 전환하는 한편, 한옥·목조건축을 탄소저감 해법이자 건축문화 자산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 지방도시 활력, 건축자산 재생에서
국토부는 30일 서울 정동 국토발전전시관에서 건축계 간담회를 열고 ‘국토 균형성장과 국민행복공간 조성을 위한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김윤덕 장관과 건축사 6명, 국가건축정책위원회, 건축 3대 단체, 건축공간연구원이 참석해 정책 방향을 모색했다.
전국에는 한옥과 근대건축 등 역사·경관적 가치를 지닌 건축공간문화자산이 6,657곳 분포한다. 국토부는 이들 자산을 문화·관광 거점으로 활용해 ‘가보고 머물고 싶은 지방도시’를 만든다는 목표다. 서울공예박물관(옛 풍문여고 활용), 전남 나주 교동 근대고택, 제주 관덕로 순아커피 등은 대표적 재생 사례로 꼽힌다.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오른쪽)이 30일 서울 중구 정동에서 열린 ‘도시건축 디자인 혁신 간담회’에서 국민행복공간 조성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국토교통부)
◆ 공공건축, 국민행복공간으로 전환
도서관·미술관·주민센터 등 공공건축을 일상 속 문화·휴식 공간으로 업그레이드하는 것도 핵심 과제다. 단순한 행정시설을 넘어 국민이 체감하는 행복공간으로 만들겠다는 것이다.
국토부는 연내 설계공모 제도를 개선해 공정성을 강화하고, 청년 건축사 참여 기회를 확대할 계획이다. 전문가들은 “공공건축 품질 향상을 위해서는 공정한 설계공모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 한옥·목조건축, 기후위기 해법
아파트 중심의 획일적 도시환경 속에서 한옥·목조건축은 기후위기 대응의 탄소저감 수단이자 건축문화 산업의 미래 자산으로 주목받고 있다. 국토부는 전통 건축의 현대적 재해석과 목조건축 활성화를 통해 탄소저감은 물론 지역 건축문화 진흥에도 기여한다는 방침이다.
조병수 건축사는 “국토 경관을 존중하는 디자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고, 문승규 건축사는 “빈 건축물은 방치하면 흉물, 활용하면 자산”이라며 ‘지방소멸 대응 건축사’ 제도를 제안했다. 신정엽 건축사는 “공정한 설계공모가 청년 건축사의 성장 기회가 된다”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이날 제시된 의견을 종합해 건축자산 활용 확대, 공공건축 개선, 한옥·목조건축 지원, 설계공모 공정성 강화 등 제도개선을 연내 추진하기로 했다.
#국토부 #도시건축디자인 #국민행복공간 #빈건물재생 #한옥목조건축 #지방소멸대응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