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에 공모로 선정된 서울 동작구 대방동 청년특화주택 조감도. 국토부는 올해도 청년·고령자·양육가구 등을 위한 맞춤형 특화주택 공모를 9월 29일 ~ 11월 28일 진행한다. (자료=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국토교통부가 청년, 고령자, 양육가구 등 다양한 계층의 수요를 반영한 맞춤형 특화주택 공모를 시작한다. 공모는 29일부터 11월 28일까지 두 달간 진행된다. 지역 맞춤성과 복지·일자리 연계성을 갖춘 4개 유형의 임대주택 모델이 대상이다.
◆공모 두 달간 진행…12월 결과 발표
국토부는 29일부터 11월 28일까지 공공주택사업자, 지자체,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지방공사를 대상으로 특화주택 공모를 실시한다. 권역별 사업설명회(9월 23일 충청·영남, 25일 호남·수도권·강원)를 이미 마쳤다. 접수 이후 제안서 검토·현장조사·평가위원회 심의를 거쳐 12월 말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4개 유형 맞춤형 모델…주거·복지·일자리 결합
이번 공모는 ▲지역제안형 특화주택 ▲고령자복지주택 ▲청년특화주택 ▲일자리연계형 지원주택 등 네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지역제안형은 지자체가 출산·귀농귀촌 장려 등 지역 특성을 반영해 입주 자격과 거주 기간을 맞춤형으로 설계할 수 있다. 고령자복지주택은 무주택 고령자(65세 이상)를 대상으로 경로식당·건강상담실 등 복지시설을 결합해 주거와 돌봄을 함께 제공한다.
청년특화주택은 도심 역세권 등 입지에 공급된다. 빌트인 가구와 피트니스룸 같은 청년 선호 시설을 갖춘다. 일자리연계형은 산업단지 근로자와 창업가 등을 위해 공유오피스·창업지원센터를 함께 제공하는 주택 모델이다.
◆기대효과와 한계…예산·참여가 성패 좌우
국토부는 이번 공모가 주거·복지·일자리를 결합한 생활밀착형 임대모델로 자리 잡기를 기대한다. 특히 내년 예산에는 청년특화주택 내 육아친화 플랫폼 등 특화시설 건설비가 신규 반영돼 지원 확대가 전망된다.
그러나 실효성을 두고는 우려도 제기된다. 과거 일부 공공임대 사업에서 지자체 참여 저조와 예산 집행 지연으로 성과가 제한된 사례가 있었기 때문이다. 이번 공모 역시 지자체와 공공사업자의 적극적인 참여, 안정적 재정 뒷받침 없이는 정책 취지가 반감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청년특화주택 #고령자복지주택 #양육가구주거 #일자리연계형주택 #지역제안형특화주택 #공공임대 #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