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전경. 올해 아파트 거래의 43%가 생애 최초 매수로 집계됐다. (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올해 전국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오피스텔 등 집합건물 거래에서 '생애 최초 매수자'의 비중이 43.2%에 달했다. 대법원 등기정보광장 통계에 따르면 1~8월 매매 이전등기 65만9,728건 중 28만4,698건이 첫 집 마련이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42.5%를 넘어선 수치로, 2010년 통계 공개 이후 1~8월 기준 최고치다. 연간 기준으로도 직전 최고치였던 2013년(43.1%)을 처음으로 뛰어넘었다.
◆ 실요자 지원 및 대출 예외 조치 여파
전문가들은 정부의 저리 정책대출과 대출 규제 예외가 실수요 증가를 이끌었다고 분석한다. 생애 최초 구입자는 신혼부부·신생아 대출이나 생애최초 구입자금 등 다양한 지원 상품을 활용할 수 있다. 반면 다주택자에겐 대출 규제가 강화돼 시장 진입이 어려워졌다. 금리 인상과 전세사기 여파로 연립·다세대(빌라)나 오피스텔 투자수요가 감소한 점도 첫 집 매수 증가로 이어졌다는 평가다.
◆ 서울도 11년 만에 최고
서울은 같은 기간 생애 최초 매수 비중이 38%를 기록했다. 이는 2014년 같은 기간 38.8%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거래 건수 또한 4년 만에 최대치로 집계돼, 수도권 주택시장에서 실수요자의 존재감이 뚜렷해졌다는 해석이 제기된다. 이번 통계는 규제 환경 속에서도 정책적 지원이 실수요자의 주택 진입을 확대하는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전문가들은 향후 생애 최초 매수자에 대한 금융·세제 지원이 지속돼야 주택시장의 안정성과 공정성이 함께 유지될 수 있다고 지적한다. 다만 고금리 기조와 경기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만큼, 무리한 대출 확대에 따른 가계부채 관리와의 균형도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생애최초 #아파트거래 #주택시장 #정부지원대출 #실수요자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