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 LH는 네이버와 관련 서비스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협약식 이후 조경숙 LH 주거복지본부장(오른쪽 네번째)과 김필수 네이버클라우드 상무(왼쪽 세번째) 등 관계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자료=LH)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임대주택 거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안부를 묻는 서비스를 시작한다. 올해 연말까지 국민임대·영구임대에 거주하는 고령자 1인 가구 2,000명을 대상으로 시범 적용한 뒤 전국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번 서비스는 네이버클라우드의 ‘클로바 케어콜’을 활용해 독거노인에게 정기적으로 전화를 걸어 안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단순한 말벗 지원을 넘어 건강 이상 징후를 조기에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LH는 이번 사업을 통해 주거복지 서비스의 인력·예산 한계를 보완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인다는 목표다. 앞으로는 AI 대화형 챗봇을 활용한 24시간 상담 주거복지 콜센터, 임대주택 안전 모니터링 등으로 활용 범위를 넓혀갈 계획이다.
지난 12일 네이버 1784에서 열린 협약식에서 조경숙 LH 주거복지본부장은 “주거복지에 AI 기술을 접목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 모델을 만들겠다”며 “앞으로도 두텁고 촘촘한 주거복지를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12일 네이버 1784에서 열린 업무협약식에서 조경숙 LH 주거복지본부장(오른쪽 네번째)과 김필수 네이버클라우드 상무(왼쪽 세번째) 등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자료=LH)
#LH #AI안부전화 #클로바케어콜 #독거노인돌봄 #임대주택 #주거복지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