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와 국가철도공단이 오는 23일 대전 본사에서 ‘철도 유휴부지 태양광 설명회’를 열고 민간 사업자들에게 주요 후보지와 절차를 안내한다. 사진 왼쪽은 광주 차량기지 지붕에 설치된 태양광 패널, 오른쪽은 강원도 태백시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 시설 모습. (자료=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 사업이 본격 확대된다. 국토교통부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정책에 발맞춰 전국 철도 유휴부지를 민간 사업자들이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오는 23일 대전에서 사업 설명회를 연다고 14일 밝혔다.

◆ 활용 잠재력 큰 철도 유휴부지
현재 전국 18곳(30만8,247㎡) 철도 유휴부지에는 총 28㎿ 규모의 태양광발전 시설이 가동 중이다. 이는 원자력 고리 2호기 발전량의 4.3% 수준에 불과하다. 전체 유휴부지 규모가 3,613만㎡에 달하는 점을 고려하면, 추가 발전 설비를 구축할 여력이 수십 배 이상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국토부는 이론적으로 모든 유휴부지를 태양광발전 단지로 활용할 경우 3,282㎿ 규모 전력이 생산돼, 원자력 고리 2호기 약 5기를 짓는 것과 맞먹는 효과를 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방사성 폐기물 처리나 건설 비용을 감안하면 기존 철도 부지를 활용하는 방식이 경제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현재 전국 철도 유휴부지 18곳(30만8,247㎡)에서 총 28㎿ 규모의 태양광발전 시설이 운영 중이다. 충청권이 가장 큰 용량(10.4㎿)을 차지하며, 수도권·강원권·호남권·영남권에 분산 설치돼 있다. (자료=국토교통부)

◆ "민간 자본 유치 설명회에서 방향 제시"
국토부와 국가철도공단은 이번 설명회를 통해 사업 현황과 주요 후보지를 소개하고, 사용허가 절차를 상세히 안내한다. 전국의 태양광발전 사업자를 대상으로 하며, 참가를 희망하는 기업은 오는 17일까지 국가철도공단 이메일로 신청서를 제출해야 한다.
국토부는 이번 행사를 단순한 안내 차원을 넘어 민간 사업자와 제도 개선 방안을 함께 논의하는 자리로 운영할 계획이다. 철도 폐선지와 차량기지 지붕 등 다양한 공간을 재생에너지 거점으로 전환한다는 비전도 공유할 예정이다.

◆ 민간 협력·제도 개선
윤진환 국토부 철도국장은 “철도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은 국가적 과제인 재생에너지 확대에 기여하는 동시에, 신규 철도 건설로 발생하는 폐선 부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도 철도 인프라가 친환경 에너지 생산의 거점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국토부는 이번 설명회를 계기로 민간 사업자의 참여를 끌어내고, 국유재산법과 신재생에너지법 절차에 따른 지원 방안을 보완해 철도 부지 활용도를 높여간다는 방침이다.

#철도유휴부지 #태양광발전 #재생에너지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