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8일 드론·로봇·AI 기반의 신기술 15건을 실증하고, 20개 기업을 스마트건설 강소기업으로 지정하며 중소기업의 현장 진입과 성장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지난해 열린 스마트건설 엑스포 전시장 부스 모습. (사진=스마트건설 엑스포 홈페이지)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국토교통부가 28일 스마트건설 생태계 조성을 위해 ‘스마트건설 기술실증 지원사업’과 ‘스마트건설 강소기업 2025’ 지정 결과를 발표했다.
드론·로봇·AI(인공지능) 기반 신기술 15건을 현장 실증 대상으로 선정하고, 자율로봇·에너지 관리 플랫폼 등 혁신 역량을 갖춘 20개 강소기업을 지정했다. 정부는 실증비와 시제품 제작비 지원, 투자 연계까지 아우르는 체계를 마련해 중소기업의 기술 상용화와 성장 발판을 넓힌다는 계획이다.
◆ 15개 기술 실증…현장 검증·사업화 지원
올해 기술실증 지원사업에는 교각(교량의 기둥) 점검 로봇, 드론 스테이션(자동 충전·이착륙 장치) 기반 디지털 트윈(가상 공간에 실제 환경을 구현하는 기술), 타워크레인 전용 스마트 안전 시스템 등 15건이 선정됐다. 특히 전기차 화재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스마트 스프링클러 시스템, 인공위성 신호가 닿지 않는 실내·지하에서 위치를 제어하는 '논-지피에스(Non-GPS·위성 비의존)' 위치 제어 기술은 현장 안전성을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국토부는 대형 건설사 수요에 맞춘 ‘수요 기반형’을 신설해 실효성을 강화했으며, 실증비는 최대 1,500만원까지 지원한다. 선정된 기술들은 오는 11월 5일~7일 열리는 ‘스마트건설 엑스포’에서 전시와 홍보 기회를 제공받고, 투자 유치 지원도 병행된다.
◆ 강소기업 20곳 지정…패키지형 지원으로 성장 견인
강소기업 2025에는 ▲자율 자재운반 로봇을 개발한 고레로보틱스 ▲360도 영상 기반 4D BIM(건축정보모델링) 플랫폼을 운영하는 큐픽스 ▲자율 도장 로봇의 마젠타로보틱스 등이 포함됐다. 이 외에도 건물에너지 통합 관리 플랫폼을 개발한 나인와트, 도로·교통안전시설물 무인시공장비 업체 충청㈜도 강소기업으로 지정됐다.
강소기업으로 지정되면 건설공사정보시스템(KISCON)에 공시되며, 시제품 제작비 최대 3,000만원, 전문 컨설팅, 금융·판로 지원을 포함한 전방위 지원을 받는다. 또한 공제조합 계약보증 수수료 할인, 해외건설 지원사업 가점 부여 등 ‘패키지형 지원’도 제공된다. 국토부는 이를 통해 중소기업이 기술개발부터 시장 진입까지 성장 전 과정을 지원받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국토부는 이날 오전 건설기술인협회에서 강소기업 지정서를 수여하고, 기업 애로사항을 청취하는 간담회도 열었다.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선정된 기술이 상용화되고 강소기업이 성장해 건설산업을 선도하길 기대한다”며 “창업 지원→실증→성장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마련해 산업 체질 개선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스마트건설 #드론로봇 #강소기업 #건설기술 #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