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 아파트 단지 전경. 올해 2분기 서울에서 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로 아파트를 매입한 가구의 평균 연소득은 9,173만원으로 사상 처음 9천만원을 넘어섰다. (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서울 아파트를 매수한 가구의 연소득이 처음으로 9천만원을 넘어섰다.
KB부동산 데이터허브가 2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4월~6월) 국민은행 주택담보대출을 통해 서울 아파트를 산 가구의 평균 연소득은 9,173만원으로 집계됐다.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8년 이후 최고치다. 부동산업계 전문가들은 이번 결과를 대출 규제 영향보다는 '고소득 가구 중심의 매수 쏠림이 지속된 현상 때문으로 해석한다.
◆ 아파트 산 사람들, 이제 연봉 9천만원 시대
서울 아파트 매수 가구의 연소득은 불과 3년 전만 해도 5,000만~6,000만원대였다. 그러나 2023년 4분기 7,813만원으로 7천만원을 돌파했고, 지난해 3분기에는 8,236만원으로 8천만원 선을 넘어섰다. 올해 들어 1분기 8,874만원, 2분기 9,173만원으로 연속 최고치를 경신했다.
같은 기간 국민은행 대출을 통한 서울 아파트의 중위가격은 9억7,000만원 수준에서 유지됐다. 이에 따라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은 2022년 2분기 14.8배에서 올해 2분기 10.6배로 낮아졌다. 이는 집값 하락 때문이 아니라 매수층의 소득이 상향 이동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 수도권 전역으로 번진 소득 상향 흐름
경기와 인천에서도 비슷한 양상이 나타났다.
2분기 경기도에서 국민은행 대출로 아파트를 매수한 가구의 평균 소득은 6,174만원으로 처음 6천만원을 넘어섰다.
인천 역시 5,007만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시기 PIR은 경기 8.8, 인천 8.5를 기록했다. 수도권 전역에서 매수세가 고소득층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지표다.
◆ 고소득층 쏠림, 시장 구조 재편
전문가들은 이번 통계의 배경을 단순히 대출 규제 강화로만 볼 수 없다고 지적한다. 고소득층이 서울·수도권 아파트 매수의 중심으로 자리 잡는 구조적 변화가 이미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주택금융업계에서는 “서울 아파트 매수세가 고소득 가구 중심으로 쏠린 데다, 주택구입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자금 여유가 있는 계층이 몰린 것도 한 원인”이라고 진단했다. 향후에도 대출 한도와 DSR 규제가 지속될 경우 이 같은 흐름은 더 강화될 수 있으며, 중산층 이하 실수요자의 진입 장벽이 높아질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서울아파트 #가구소득 #주담대 #고소득쏠림 #수도권부동산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