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 낮 12시15분(현지시간·한국시간 26일 오전 1시15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KTV)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첫 정상회담을 가졌다. 양국 정상은 무역 합의 유지,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협력, 조선·제조업 동맹 강화, 주한미군 기지 문제 등 굵직한 현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담은 단순한 외교 이벤트를 넘어 건설·부동산 시장의 기회와 변수, 그리고 새로운 리스크를 동시에 드러낸 자리로 평가된다.
◆긴장 속 회담, 새 한미관계 전환점 평가
회담 전까지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와 무역 문제를 거론하며 한국을 겨냥한 강경 발언을 이어갔다. 그러나 막상 회담은 농담과 친근한 제스처가 오가며 비교적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조선업 르네상스에 한국이 함께하길 바란다”는 취지의 발언을 하며 산업 협력 확대 의지를 내비쳤고, 이 대통령 역시 이에 호응했다. 긴장과 화해가 교차한 첫 만남은 한미 관계의 새 전환점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기록될 수 있다.
◆무역 합의 유지와 투자 협력 논의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이 문제를 제기했지만 원래대로 하기로 했다”고 말하며 기존 무역 협정의 틀을 유지한다는 취지를 밝혔다. 구체적인 조항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교역 환경 불확실성을 완화하는 신호로 시장에 해석됐다.
양국은 방위, 에너지, 인프라 분야에서 3,500억 달러 규모의 투자 협력을 논의했다. 이는 대형 EPC(설계·조달·시공) 사업과 에너지 프로젝트, 글로벌 인프라 구축 등에서 한국 기업의 참여 기회를 넓힐 수 있는 계기로 주목받고 있다.
◆대북 협상 재개 가능성과 기지 문제 '주목'
트럼프 대통령은 “김정은 위원장을 올해 안에 만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북미 정상회담 재개 가능성을 열었다. 이는 한반도 정세에 새로운 변곡점이 될 수 있는 발언으로, 동북아 안보 구도와 남북 경협 흐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와 함께 주한미군 기지 토지 소유권 문제가 거론되며 지역 개발 계획에 불확실성이 제기됐다. 군사 기지는 도시계획과 직결되는 사안이어서, 정책 방향에 따라 해당 지역의 개발 속도와 투자심리가 크게 바뀔 수 있다. 과거 용산 기지 이전 사례처럼, 미군 부대의 재배치와 활용이 장기적으로 새로운 개발 수요를 창출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엄청난 주민 갈등과 재정 부담이라는 과제를 동반할 수 있다는 점도 지적된다.
◆건설·부동산 산업에 미칠 파장
이번 회담은 건설·부동산 시장에도 직간접적 영향을 남겼다. 조선·제조업 협력 강화는 산업단지 확장과 항만 인프라 투자 확대, 배후 도시 주거 수요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울산과 거제 등 기존 조선업 거점 도시뿐 아니라 신규 산업 클러스터 개발도 본격화될 수 있다.
무역 합의 유지와 투자 협력은 외국인 투자 리스크를 낮추고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 안정성을 높여 대규모 개발 사업의 자금조달 여건을 개선할 수 있다.
주한미군 기지 논의는 단기적으로 지역 개발 불확실성을 키우지만, 장기적으로는 기지 이전·재배치 과정에서 신도시급 개발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도 남겨두었다.
◆기회와 리스크 교차하는 분기점
대규모 투자 의제가 현실화될 경우, 방위산업 단지, 에너지 인프라, 복합개발 사업 등 전방위 산업에서 수주 경쟁이 가속화되고 국내 건설사들의 글로벌 진출 기회도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정상회담은 외교 무대의 성과에 머무르지 않고 건설·부동산 시장의 기회와 리스크를 동시에 드러냈다. 산업 클러스터 중심의 개발 가능성이 넓어지는 반면, 정책과 지정학적 변수는 여전히 관리해야 할 과제다.
#한미정상회담 #이재명트럼프 #무역합의 #조선업 #주한미군기지 #부동산시장 #건설산업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