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12일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 2호 위성이 미국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스페이스X의 펠컨9에 실려 발사되는 장면. (사진=국토교통부 제공)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전 세계 항공·위성 전문가들이 서울에 모여 이를 주제로 머리를 맞댄다. 국토교통부는 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간 서울 피스앤파크 컨벤션에서 ‘제40차 위성항법보정시스템(SBAS) 상호운용성 워킹그룹(IWG)’ 회의를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회의는 2023년 본격 운영을 시작한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KASS)가 국제무대에서 처음 소개되는 자리다.
◆위성항법, 항공안전 넘어 미래 산업으로
위성항법은 하늘 위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로 현재 위치를 찾는 기술이다. 우리가 흔히 쓰는 GPS도 이에 속하지만, 오차가 수십 미터에 달한다. 위성항법보정시스템(SBAS)은 이 오차를 1~2m 수준까지 줄여주는 국제표준 체계다. 한국이 운영하는 KASS는 세계 7번째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공인 항공위성체계로, 도입 효과는 크다. 이 기술을 쓰면 항공기가 훨씬 정밀하게 길을 찾아 지연·결항이 줄고, 최적 항로 운항으로 탄소배출도 줄일 수 있다.
◆서울에 모인 세계 전문가들
이번 회의에는 미국, 유럽연합, 일본, 인도 등 기존 운영국과 호주, 뉴질랜드, 중국, 아프리카 등 도입 예정국 관계자 80여 명이 참석한다. 의제는 ▲국제표준 개정 ▲기술 협력 ▲불법 전파 간섭(스푸핑·재밍) 대응 ▲저궤도 위성과의 연계 ▲자율주행·재난안전 등 활용 확대다.
특히 최근 문제로 떠오른 ‘위치 조작’과 ‘전파 방해’를 막아 안정적이고 신뢰성 높은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집중 논의된다. 각국이 자율주행·드론·재난안전 등 신기술 적용 사례를 공유하고, 활용 범위를 넓히기 위한 협력 방안도 모색한다.
◆한국형 KASS, 어디까지 왔나
우리나라는 2022년 1호기 위성 발사, 2024년 2호기 확보를 거쳐 안정적 운영 기반을 마련했다. 이어 2027년 12월에는 3호기 위성을 발사하고, 4·5호기 확보도 추진한다.
국토부는 이번 회의에서 이러한 연차별 추진계획을 공개하고, 항공 안전을 넘어 차량 내비게이션·위치기반서비스(LBS) 등 생활 속 서비스로 확장하는 전략도 내놓는다.
특히 KASS 신호를 인터넷으로 전송하는 시스템(KDAS)을 연내 완성해, 항공뿐 아니라 스마트시티·재난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정밀위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KASS를 통해 항공기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것은 물론, 자율주행차·재난안전·스마트시티 등 다양한 미래 산업과 연결되는 전략적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며 “이번 회의를 계기로 한국형 항공위성서비스의 국제적 위상도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밝혔다.
#위성항법 #KASS #항공위성서비스 #SBAS #서울국제회의 #항공안전 #자율주행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