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의 ‘2025년 지역개발사업’ 투자선도지구에 선정된 전북 전주 MICE 복합단지 조감도. 전시컨벤션센터를 중심으로 문화시설, 호텔, 백화점, 업무시설 등이 집적돼 융복합형 지역성장 거점으로 개발될 예정이다. (자료=국토교통부 제공)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지역소멸 위기와 국토 균형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지방 도시들이 제안한 다양한 ‘테마형 개발사업’ 가운데 일부가 정부의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정부는 이들 사업에 ‘마중물(지원금)’을 투입해 자립 기반을 다지는 ‘2025년 지역개발사업’ 추진에 나선다.
국토교통부는 7일, 투자선도지구 5곳과 지역수요맞춤지원사업 20곳 등 총 25곳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올해는 전년보다 사업 수가 3배 이상 확대됐다.
◆ 산업거점·생활 인프라 확충까지…25곳 선정
국토부는 지난 5월부터 공모를 진행해 서면·현장·종합평가를 거쳐 최종 사업지를 확정했다.
올해 선정된 25개 사업에는 산업 기반 조성과 생활 인프라 확충, 관광지 재생, 산불피해 복구 등 다양한 테마가 반영됐다. 정부는 사업 유형에 따라 1곳당 최대 100억 원(투자선도지구), 25억 원(맞춤지원 일반형), 7억 원(맞춤지원 소규모)의 국비를 차등 지원할 계획이다.
◆ 투자선도지구 5곳…역세권·첨단소재·지역 특화산업 집중
투자선도지구로는 ▲강원 영월 ▲전북 전주·남원 ▲경남 고성·거창 등 5곳이 선정됐다.
영월은 필수광물인 텅스텐을 중심으로 첨단소재 단지를 조성하고, 산·학·연 연계 연구개발 거점을 만든다.
전주는 KTX 전주역과 고속버스터미널 인근에 MICE 산업 기반을 조성해 복합성장 거점으로 육성하고, 남원은 서남권 복합문화 클러스터 조성을 통해 전통과 현대문화의 융합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고성과 거창은 각각 우주항공산업 및 산림휴양 산업을 테마로 산업·관광 복합거점을 추진한다.이들 지역은 인구감소가 심화되고 있는 중소도시로, 특화산업과 교통·문화 인프라를 결합한 전략적 개발이 핵심으로 평가된다.
◆ 맞춤지원 20곳…산불 복구부터 노후관광지 재생까지
지역수요맞춤지원사업에는 전국 20곳이 포함됐다. 이들 사업은 유휴시설 활용, 도심 생활환경 개선, 산불피해 복구, 노후 관광지 정비 등 일상과 직결된 수요에 대응하는 사업들이다.
단양·거창은 지역 내 의료·복지 기반을 강화하고, 태백·장수·곡성 등은 노후 관광시설과 체험 공간을 재정비해 관광 수요를 유도한다.
영월·고흥·영동 등은 기존 유휴시설을 리모델링해 복합커뮤니티 공간이나 복지시설로 전환한다.
특히 3월 대형 산불 피해를 입은 경북 의성·청송·영양 등 3곳은 소실된 마을회관 및 이재민 시설을 복구하고 재난 대응 기반을 보강하는 사업이 포함됐다.
◆ “지역 자립성·회복력 높이는 기반 될 것”
국토부는 이번 사업이 지역 중심의 기획역량을 강화하고, 국정과제인 균형발전 실행력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상주 국토도시실장은 “이번 사업은 소멸 위기 지역을 지원하는 균형발전 정책의 마중물”이라며 “자립성과 회복력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역개발사업을 지속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지역개발사업 #국토균형발전 #지방소멸대응 #투자선도지구 #지역수요맞춤지원 #2025공모선정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