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7일 ‘2025년 동계 정기 항공편 일정’을 확정하고, 국제선 44개국 248개 노선을 주 4,973회 운항한다고 밝혔다. (사진=StockCake)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국토교통부가 27일 ‘2025년 동계 정기 항공편 일정’을 확정했다. 오는 26일부터 내년 3월 28일까지 국제선은 44개국 248개 노선을 주 4,973회 운항하며,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된다. 부산과 대구공항에서 신규 노선이 잇따라 개설되고, 중단됐던 양양~제주 노선도 다시 운항에 들어간다.

◆ 국제선 주 4,973회…동남아 노선 대폭 확대
국토부에 따르면 이번 동계기간(10월 26일~내년 3월 28일) 국제선은 44개국 248개 노선에서 주 4,973회 운항한다. 이는 2019년 동계의 주 4,980회와 비슷한 수준으로, 코로나19 이전의 정상운항 체제를 사실상 회복한 것이다.
특히 계절적 수요가 높은 동남아 노선이 주 381회로 36.7% 늘었다. 베트남(주 234회·64.6%↑)을 비롯해 ▲싱가포르(29.5%↑) ▲태국(22.8%↑) 등 휴양 노선 중심으로 증편이 집중됐다. 이로써 한겨울 해외여행 수요가 큰 지역의 항공 좌석난 완화가 기대된다.
부산~알마티(카자흐스탄), 대구~치앙마이(태국), 대구~비엔티안(라오스) 등 신규 취항도 확정됐다. 지방공항 중심의 노선 다변화를 통해 수도권 집중도를 완화하고 지역공항 이용률 제고가 예상된다.

◆ 국내선 20개 노선 주 1,784회 운항
국내선은 제주노선 12개, 내륙노선 8개 등 총 20개 노선을 주 1,784회 운항한다. 이 중 제주노선이 주 1,502회로 전체의 84%를 차지한다. 지난해 운항이 중단됐던 양양~제주 노선이 재개되며, 군산·포항·원주 등 소규모 지방노선도 하계 수준으로 유지된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방공항을 중심으로 지역 간 연결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운항계획을 조정했다”고 밝혔다.

◆ 항공안전 심사 강화…시행규칙 개정 추진
국토부는 지난 4월 발표한 ‘항공안전 혁신방안’에 따라 항공사 안전관리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항공기 확보, 정비시설, 항공종사자 운항능력 등 안전 관련 요소를 노선 인허가 단계에서부터 사전 점검하는 절차가 도입된다. 이를 제도화하기 위한 ‘항공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은 입법예고를 마친 상태다.
김영국 국토부 항공정책관은 “국민의 이동 편의와 항공안전을 균형 있게 고려해 동계 일정을 확정했다”며 “노선 다변화와 안전운항 관리를 병행해 여행객의 선택권을 넓히겠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항공편일정 #동계항공편 #인천공항 #부산공항 #대구공항 #항공안전 #동남아노선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