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휴머노이드 로봇’이 물품 상자를 자동 분류·이동하는 현장 실증 장면. 국토교통부는 ‘물류 AI 대전환 혁신랩’ 출범을 계기로 AI·로봇 기반 지능형 물류체계 구축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사진=CJ대한통운 제공)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국토교통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한 지능형 물류 혁신에 본격 나섰다.
24일 서울에서 열린 ‘물류 AI 대전환 혁신랩’ 첫 회의를 시작으로, 산·학·연 협업을 통한 산업 구조 혁신이 가동됐다. 정부는 이번 협의체를 통해 데이터·AI 기반 물류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고, 오는 2026년까지 ‘물류 AI 대전환 추진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토교통부(장관 김윤덕)는 24일 오후 서울에서 ‘물류 AI 대전환 혁신랩’ 킥오프 회의를 열고, AI 기술을 활용한 물류산업 구조 개편과 경쟁력 제고 방안을 논의했다. 혁신랩은 물류·산업공학·AI 등 학계와 주요 물류기업, 자율주행 스타트업, 연구기관, 협회가 함께 참여하는 산·학·연 협의체로 구성됐다.
정부는 이번 협의체를 통해 ▲AI 기반 물류산업 경쟁력 강화 과제 발굴 ▲기술개발 및 인재양성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혁신 인프라 조성 등 중장기 전략을 체계화한다. 특히 운송(모빌리티), 보관·포장(풀필먼트), 데이터 표준화, 법·제도 개선 등 세부 분야별로 전문가 중심의 워킹그룹을 유동적으로 운영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국내외 AI 물류 혁신 사례와 정책 제안이 발표됐으며, AX(Artificial Intelligence Transformation·인공지능 전환) 및 DX(Digital Transformation·디지털 전환) 가속화를 위한 산업별 적용 방향이 논의됐다. 국토부는 민간 기술 역량과 정부 정책 지원을 결합해 데이터 중심의 스마트 물류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김근오 국토교통부 물류정책관은 “물류산업은 방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만큼, AI와의 결합을 통해 가장 빠르고 효과적인 혁신이 가능하다”며 “산업 주체 모두가 함께 참여해 우리 물류산업이 국가 핵심 인프라로 도약하는 전환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국토교통부 #물류AI #AI대전환 #혁신랩 #지능형물류 #AX #DX #산학연협력 #스마트물류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