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10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KTV)
[하우징포스트=임재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이 10일 국민성장펀드 규모를 100조 원에서 150조 원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부동산 자금 쏠림을 억제하고 AI·첨단산업·초장기 인프라 등 혁신 분야에 장기 투자를 집중하겠다는 구상이다. 그는 ‘전당포식 금융’에서 ‘생산적 금융’으로의 전환을 강조하며, 정부·민간·금융권이 함께하는 성장펀드가 한국 경제 재도약의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100조에서 150조로, 과감한 규모 확대
이 대통령은 이날 서울 마포구 창업지원센터 프론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기존 100조 원 규모로 계획했던 펀드를 150조 원으로 확대하기로 했다”며 “지원 방식도 대대적으로 개편해 첨단 전략산업과 핵심 프로젝트에 장기적·대규모 자금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손쉬운 이자 수익이나 부동산 투자에 자금이 몰리지 않도록 모험 투자, 혁신 투자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치는 대선 공약으로 제시된 국민성장펀드의 범위를 넓히는 동시에, 자본시장의 투자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는 신호탄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서울 마포구 프론트원에서 열린 ‘국민성장펀드 국민보고대회’에서 정부, 금융권, 재계 인사들이 이재명 대통령의 발표를 경청하고 있다. (사진=KTV)
◆ AI·첨단산업·벤처 생태계 집중 지원
대통령은 특히 “금융 분야가 지금처럼 담보 잡고 이자 받는 전당포식 영업이 아니라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성장펀드는 AI 대전환 프로젝트, 초장기 인프라 확충, 첨단 전략산업 육성 등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직접 투입될 계획이다.
그는 “잘 되는 기업은 더 잘 되게 하고, 실패하더라도 재기할 수 있도록 벤처 생태계를 활성화해야 대한민국 경제의 미래가 있다”고 말했다. 재정이 마중물 역할을 통해 민간 자금을 끌어내는 방식으로, 혁신기업 성장과 재도전 지원을 동시에 뒷받침한다는 구상이다.
◆ 글로벌 경쟁 심화와 민관 협력, 금융권 반성
이 대통령은 “미국, 중국 등 주요국이 첨단 전략산업에 대규모 국가적 투자를 확대하는 상황에서 한국도 저성장을 이어갈지, 선진국으로 도약할지를 결정해야 하는 분기점에 서 있다”고 밝혔다. 그는 “총성 없는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국제 환경 속에서 위기를 기회로 바꾸는 도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장에는 최태원 SK 회장,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 박승희 삼성전자 사장, 박상진 산업은행장 등 재계·금융계 인사가 총출동했다. 특히 박상진 신임 산업은행장은 “그동안 금융권이 담보 위주의 안전한 대출에 치중해 혁신기업 지원에 소홀했던 점을 반성한다”며 “앞으로는 성장펀드와 연계해 생산적 금융으로 전환하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 시중은행 고위 임원도 “부동산 담보 대출 중심의 관행에서 벗어나, 위험을 분담하더라도 신산업과 벤처 투자를 적극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금융권의 태도 변화가 국민성장펀드 확대 효과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이재명 #국민성장펀드 #150조펀드 #AI투자 #첨단산업 #벤처생태계 #생산적금융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