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심의 아파트 단지 전경. 6·27 대출 규제 여파로 8월 서울 주택사업 전망이 전월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유승찬 기자]
6·27 대출 규제의 여파로 8월 서울 주택사업 전망이 전월 대비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수도권 전반의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며 전국 지수도 기준선 100을 크게 밑돌았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이 19일 발표한 ‘8월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HBSI)’에 따르면 전국 지수는 76.0으로, 전월보다 24.0포인트 하락했다. 기준선 100 미만은 부정적 전망이 우세하다는 뜻이다.
특히 수도권 하락폭이 컸다. 전월 123.7에서 66.6으로 57.1포인트 낮아졌으며, 서울은 135.1에서 64.1로 71.0포인트 급락해 낙관적 전망이 절반 이하로 줄었다. 경기는 122.2에서 69.2로 53.0포인트, 인천은 113.7에서 66.6으로 47.1포인트 각각 하락했다.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해도 부정적 기류가 뚜렷하다. 전국은 10.0포인트, 수도권은 41.7포인트, 서울은 55.9포인트 낮아졌다.
비수도권도 전월 대비 16.9포인트 떨어진 78.0으로 조사됐다. 광역시는 82.2(-16.6), 도 지역은 74.8(-17.1)로 내려갔다. 지난달 비수도권 지수가 올해 들어 최고치(94.9)를 기록하며 회복 기대가 있었지만, 수도권 위축세가 지방까지 확산된 것으로 풀이된다.
세부 지표도 약세를 보였다. 8월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71.2로 전월 대비 21.6포인트 하락했고, 자재수급지수는 93.2로 6.8포인트 내려갔다.
주산연은 “6·27 대책으로 자금 조달 문턱이 높아지고 추가 규제 가능성이 커지면서 수요자들은 매입 결정을 미루고, 집주인들도 가격 조정에 소극적”이라며 “서울 송파구를 포함한 강남3구 주요 지역에서는 반등 기대감이 남아 있어 단기 조정 후 회복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주택사업경기 #HBSI #6·27대출규제 #서울아파트 #수도권주택시장 #매수심리 #강남3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