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방범·환경 등 다양한 데이터를 융합·분석해 도시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구조도. (자료=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국토교통부가 15일 스마트도시의 핵심 인프라인 ‘데이터허브(Data Hub)’ 기반의 실증형 공공서비스 개발을 위해 첫 공모에 나선다. 데이터허브가 구축된 국내 광역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16일부터 ‘시범솔루션 공모’를 시행한다.
◆ ‘데이터허브’로 도시 문제 해결 도전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는 교통, 방범, 환경, 방역 등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한곳에 모아 수집·저장·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건강과 안전 등 실생활 서비스를 개발하는 핵심 시스템이다.
데이터허브가 구축되면 지자체는 복잡한 행정 데이터와 공공 정보를 통합 분석해, 시민의 삶에 도움이 되는 효율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국토교통부는 2022년부터 국내 각 광역지자체를 대상으로 데이터허브 구축을 추진해왔으며, 다양한 실증사업을 통해 성과를 축적해왔다.
예를 들어 방범 분야는 경찰 신고 데이터, 유동인구 정보, CCTV 자료를 융합해 순찰 경로를 자동으로 설계하는 ‘스마트 순찰 시스템’이 대표 사례다. 또 코로나19 확산 시기에는 카드사와 통신사의 이동정보, CCTV 데이터를 통합 분석해 확진자 동선을 빠르게 파악하는 ‘전염병 역학 동선 분석 서비스’도 도입돼 주목받았다.
◆ ‘함께 쓰고 나누는’ 공모…공공 확산 기반부터 설계
국토교통부는 각 지자체가 보유한 데이터허브를 함께 활용할 수 있는 ‘공공형 공동 서비스 모델’을 이번 공모를 통해 발굴할 계획이다. 공모 대상은 데이터허브가 구축된 광역지자체이며, 기초지자체와 공동으로 제안하거나 다른 광역지자체와 연계한 협업 모델을 제시할 경우 선정 시 가점을 부여한다.
이번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범용 솔루션’은 전면 오픈소스(Open Source) 방식으로 공개된다. 이를 통해 전국의 다른 지자체도 유사한 도시 여건과 행정 단계에 따라 손쉽게 도입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는 스마트도시 기술의 전국 확산과 지속 가능한 협력 체계로 이어지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스마트도시 #데이터허브 #도시데이터 #시범솔루션공모 #국토교통부 #지자체협업 #스마트행정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