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트램 실증 개념 그래픽(자료=국토부)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국토교통부가 미래형 광역교통 기술을 담은 ‘광역교통 R&D(연구개발) 로드맵(2025~2034)’을 공개했다. 노면전차(수소트램), 가상복제기술(디지털트윈) 기반 환승센터, 차세대 철도신호체계, 도심형 대용량 간선급행버스체계(BRT) 등 지능형교통체계(스마트모빌리티)시대를 위한 핵심 기술들이 처음으로 정리됐다.

국토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2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설명회를 열고 로드맵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교통연구원, 교통학회,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등 7개 기관과 교통 전문가 100여 명이 참석해 발표와 토론을 진행했다.

이번 로드맵은 기존의 인프라 공급 중심 대응에서 벗어나, 기술혁신을 통해 광역교통 문제를 구조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목표다. 대광위는 그간 김포골드라인 혼잡 완화를 위한 열차 증편, 광역버스 증차 등 단기 조치를 시행해왔으나, 앞으로는 지속가능하고 친환경적인 스마트 교통체계 구축에 중점을 둔다.

수소트램 차량 구조 예시(자료=국토부)

핵심 기술은 네 가지 분야로 구성됐다. 우선 디지털트윈(가상 복제 기술)을 기반으로 한 환승센터 통합 운영이 추진된다. GTX(수도권광역급행철도), BRT(간선급행버스체계), 버스, 승용차, PM(개인형이동장치) 등 다양한 교통수단 간 환승을 최적화하고, 교통약자 맞춤 동선 제공, 실내 내비게이션 및 재난 예측 기능도 함께 구현된다.

두 번째는 차세대 철도신호체계 구축이다. 외국산 신호시스템에 대한 기술종속 문제를 해결하고, 열차 통신장비와 무선 선로전환 시스템, 시험기 등을 국산화해 신규 노선 연장 시 신호체계 개편 부담을 줄이는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세 번째는 수소트램(노면전차) 실증 운행이다. RAMS(신뢰성·가용성·유지보수성·안전성) 체계를 기반으로 시제차량과 수소충전소를 포함한 실노선 운행 테스트가 추진된다.
대전, 울산 등 수소트램 도입 예정 도시를 대상으로 적용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은 도심형 대용량 BRT(간선급행버스체계) 기술 개발이다. 친환경 고출력 동력장치, 사전요금제, 차량 관제 시스템 등을 탑재한 BRT 차량을 개발해, 트램 수준의 수송 능력과 정시성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이번 로드맵을 통해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 서비스를 제공하고, 국민 일상에 여유를 돌려드리겠다”며 “설명회에서 제시된 전문가 의견을 반영해 최종안을 확정하고, 관계기관 협의도 본격화하겠다”고 밝혔다.
#국토교통부 #광역교통로드맵 #GTX #수소트램 #BRT #스마트모빌리티 #디지털트윈 #RAMS #광역환승센터 #지능형교통체계 #출퇴근개선 #친환경교통기술 #교통기술혁신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