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안심구역 이용절차 및 예시 절차도(자료=국토부)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이달 1일부터 교통카드 빅데이터가 민간에도 개방된다. 그동안 공공기관에만 제공되던 대중교통 통행 데이터를, 기업과 연구기관에서도 분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서울과 대전의 ‘데이터안심구역’을 통해 교통카드 빅데이터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보안공간 내에서만 열람 가능
교통카드 데이터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인터넷이 차단된 보안공간에서만 열람할 수 있다.
이용자의 카드번호는 가상번호로 암호화되며, 분석 결과만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데이터가 제공되는 곳은 서울 중구와 대전 유성구의 ‘데이터안심구역’이다.이곳은 데이터산업법에 따라 기술적·물리적·관리적 보안요건을 갖춘 분석 전용 공간으로, 민감 정보의 안전한 활용을 위해 마련됐다.
데이터 안심구역 위치 및 이용 안내(자료=국토부)
◆통행 패턴 직접 분석 가능해져교통
카드 데이터는 승·하차 위치와 시간, 환승 정보, 노선별 이용량 등으로 구성된다. 기존에는 공공기관이 집계해 제공한 통계만 민간에 열려 있었으나, 이번 개방으로 민간도 원시 데이터를 직접 분석할 수 있게 됐다. 이를 통해 출퇴근 시간대 교통량, 주요 노선별 이용 패턴 등 생활밀착형 데이터를 자유롭게 분석할 수 있다. 이사나 통근 등 이동 유형 분석은 물론, 수요응답형 교통(DRT)이나 공유모빌리티 서비스와도 연계할 수 있다.
◆하루 2,300만건 통행 정보…110TB 축적
현재 수집되고 있는 교통카드 데이터는 하루 평균 2,300만 건에 달한다. 2018년 이후 누적된 자료는 총 110TB로, 국내 최대 규모의 통행 데이터다. 교통카드 통계를 기반으로 한 버스 노선 개편, 정류장 재배치, 대중교통 정책 설계 등에도 활용될 수 있다.
◆신청부터 반출까지 최대 45일 소요
데이터 이용을 원하는 기업이나 연구자는 ‘데이터안심구역 포털’(https://dsz.kdata.or.kr)에서 신청서를 접수해야 한다. 이후 심사를 거쳐 승인을 받은 뒤, 지정된 공간에서 분석이 가능하다. 분석 결과는 별도 절차를 거쳐 외부로 반출된다. 전체 이용 절차는 신청부터 반출까지 약 4~6주가 소요된다. 1회에 한해 분석 기간 연장도 가능하다.
◆국토부 “민간 활용 맞춤형 데이터 정책 전환”
국토교통부는 이번 개방을 2026년 12월까지 시범 운영하고, 이용자 만족도와 분석 활용 사례를 평가해 대중교통법 개정 여부도 검토할 예정이다.
엄정희 국토부 교통물류실장은 “공급자 중심의 데이터 제공 방식에서 벗어나,민간 이 원하는 지표를 직접 분석할 수 있도록 데이터 환경을 전환하는 것”이라며 “새로운 대중교통 서비스 개발로 이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