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0일 부산 김해국제공항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현장에서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와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관계 기관들이 합동감식 직전, 현장점검을 하고 있다. (사진=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정부가 항공 안전 체계를 전면 개편하기 위한 논의를 본격화한다. 최근 연이어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12월 29일)와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1월 28일) 등의 후속 조치를 마련하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항공안전 혁신위원회’를 구성하고 4일 첫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 항공안전 혁신위원회 출범
이번 위원회는 민간 항공기 사고가 잇따르면서 우리나라 항공안전 체계를 전반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국토부의 자문·심의 기구(비법정 기구)로 운영된다. 특히, 이번 첫 회의에서는 위원장을 선출하고, 향후 위원회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는 한편, 항공안전 대책 수립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할 예정이다.
위원회는 항공운항 안전 분과와 공항시설 개선 분과로 나뉘어 활동하며, 20여 명의 민간 전문가들이 참여해 약 10주간 운영될 계획이다. 국토부는 위원회 운영 과정에서 추가적인 전문가를 위원으로 임명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 항공안전 전반 개선 착수
위원회는 항공안전 혁신 대책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저비용항공사(LCC) 정비 역량 제고 △항공기 가동률 관리 강화 △공항 건설·운영 규정 일관성 확보 등, 최근 사고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들을 중점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항공사의 운항 인허가 시 안전성 검토 강화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내실화 △공항 건설·운영규정 개정 △공항운영증명 및 운영검사 체계 개선 등 항공안전체계 전반의 혁신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위원회는 오는 3월까지 항공안전 관련 제도 개선안을 마련하고, 4월 초 공청회를 열어 최종 대책을 확정할 계획이다.
백원국 국토부 제2차관은 "잇따른 항공기 사고로 항공안전 관련 제도 개선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항공안전 체계를 근본적으로 개혁하겠다는 각오로 철저한 점검과 개선에 나설 것"이라고 강조했다.
#항공안전 #국토부 #제주항공 #에어부산 #안전개혁 #항공사고 #항공운항 #공항시설 #항공안전위원회 #LCC정비 #항공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