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5차 한·아세안 교통협력포럼’ 공식 세션 일정 포스터. 올해 포럼은 웨스틴조선서울에서 8일 개막해 3일간 진행된다. 첫날은 4개 세션(육상·항공·해상 분야 AI 적용 방안)으로 구성된다. (자료=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임재인 기자]
국토교통부는 8일 서울에서 ‘제15차 한·아세안 교통협력포럼’을 열고, 아세안 10개국과 함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 모빌리티 전략을 본격 논의했다.
올해 포럼은 ‘AI 기반 솔루션을 통한 더 스마트하고 안전한 교통 실현’을 주제로 3일간 열린다. 자율주행과 스마트 인프라 등 한국의 기술 역량을 아세안 지역에 어떻게 접목할 것인지에 대한 협력 방향이 집중모색될 것이라고 밝혔다.
◆ 디지털 격차 해소 위한 ‘AI 교통혁신’ 협력 본격화
이번 포럼에는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아세안 10개국 교통부 고위 관계자(차관·국장급)가 참석했다. 국토부는 AI 기반 교통정책과 스마트 인프라 구축 경험을 공유하며, 물리적 인프라가 부족한 아세안 국가들의 교통 디지털 전환을 기술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아세안 국가들은 교통 인프라 수준과 디지털 전환 속도에서 큰 격차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고비용의 물리적 시설보다 AI를 활용한 데이터 기반 교통관리체계 도입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이번 포럼은 이러한 흐름을 제도·협력 차원으로 구체화한 첫 계기로 평가된다.
◆ ‘2030 교통 로드맵’ 발표…해상교통까지 의제 확장
포럼 공식 세션에서는 한·아세안 교통협력의 중장기 비전인 ‘2026~2030 교통협력 로드맵’이 발표됐다. 로드맵은 ▲육상교통 ▲항공 ▲물류·해운 등 분야별 디지털 전환 실행계획을 담고 있으며, 한국은 AI 기반 솔루션을 핵심 수단으로 제시했다.
아세안 각국도 자국 교통 분야의 디지털화 계획을 소개했고, 아세안 사무국은 ‘교통 전략계획(2026~2060)’ 수립 일정을 공식화했다. 특히 올해 포럼에서는 해상교통이 새롭게 논의 의제로 포함돼 스마트 항만관리, 선박운항 데이터 통합 등 교통협력의 외연이 한층 넓어졌다.
◆ 기업 진출 통로도 마련…기술협력 통한 실질 확장 기대
포럼 이후인 9일에는 국내 교통기술 기업과 아세안 대표단 간 1:1 비즈니스 미팅이 진행된다. 스마트 신호제어, 자율주행 관제, 교통혼잡 해소 등 분야별 상담이 예정돼 있으며, 기술협력 및 공공지원 형태의 국제협력사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국토부는 이번 포럼을 계기로 교통분야 민관 협력의 해외 진출 기반을 강화하고, 중장기적으로는 디지털 전환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스마트교통 생태계를 아세안과 공동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대표단은 국립항공박물관도 방문해 한국 항공산업의 역사와 미래 기술을 직접 체험할 예정이다.
◆ CSP 기반 교통협력 확대…말레이시아와 양자회의도 병행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개회사에서 “지난해 한·아세안이 포괄적 전략동반자관계(CSP)를 수립하며 협력의 토대를 새롭게 다졌다”며 “AI 기반 스마트 교통 인프라 구축을 통해 아세안과 함께 지속가능한 교통미래를 실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는 포럼과 별도로 10일 서울에서 말레이시아와 ‘제5차 한·말레이시아 교통협력회의’를 개최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K-패스, 도시교통관리 시스템 등 한국형 교통정책의 수출 확대와 양국 간 실무협력 강화 방안이 논의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