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경기 부문별 실적지수 변동 추이. [자료=한국건설산업연구원]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건설기업들이 느끼는 체감경기가 두 달 연속 뒷걸음질쳤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4일, 6월 건설기업경기실사지수(CBSI)가 전월보다 0.8포인트 하락한 73.5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CBSI는 3월 68.1에서 4월 74.8로 반등했다가 5월(74.3)에 이어 6월까지 두 달 연속 하락하며, 기준선(100)보다 한참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다.
특히 자금조달지수는 4.3포인트 떨어진 74.3, 신규수주지수는 0.6포인트 내린 68.9로 집계됐다. 공종별로는 주택 수주지수가 8.9포인트 하락한 65.7로 가장 큰 낙폭을 보였고, 토목과 비주택건축은 각각 5.1포인트, 1.7포인트 상승했다. 공사대수금지수(86.6), 수주잔고지수(89.6), 공사기성지수(86.8)는 전월보다 소폭 상승했다. 하지만 전반적인 체감경기 하락세를 반전시키기엔 역부족이었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지수가 7.7포인트 하락한 92.3으로 내려앉은 반면, 중소기업지수는 5.1포인트 오른 65.5로 소폭 개선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0.3포인트 하락한 89.8, 지방은 1.5포인트 상승한 65.3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과 대형 현장 중심의 체감경기 악화가 보다 두드러졌다는 점을 시사한다.
건설업계 최근 2년간 종합실적추이.(자료=한국건설산업연구원)
7월 종합전망지수는 70.4로 나타났다. 지난 6월 실적지수보다 3.1포인트 더 낮아졌다. 건산연은 “공사비 부담과 현장 체감금리가 여전히 높은 수준이고, 정부의 건설경기 활성화 정책도 단기 반등 효과를 기대하기에는 미흡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지난달 종합실적지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항목은 신규수주지수로, 영향력은 59.0%에 달했다. 자금조달지수의 영향력도 13.5%로 전월보다 0.8%포인트 높아졌다. 이는 수주와 자금 흐름이 체감경기에 미치는 절대적 영향력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건설업계에서는 “공공 발주 확대만으로는 반등이 어려우며, 민간·주택 수주 회복을 위한 유인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특히 지방 중소건설사의 자금 유동성 확보, 도심 정비사업 촉진, 주택공급 프로젝트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 등이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오고 있다.
건설업계는 정부가 ‘3기 신도시 공급 속도전’과 ‘노후 도심 재생’을 병행 추진 중이지만, 시장이 체감할 수 있는 반등 신호를 만들기 위해선 보다 세밀한 정책적 조율이 요구된다고 보고 있다.
#건설경기 #CBSI #체감지수 #신규수주 #자금조달 #주택수주 #건설경기전망 #하우징포스트 #7월전망 #노후도심재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