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값이 서울 전체 주택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43%를 넘어섰다. 사진은 서울 아파트 밀집지역 전경.(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아파트값이 서울 전체 주택시장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사상 처음으로 43%를 넘어섰다. 고가 주택에 대한 규제 강화와 거래 위축에도 불구하고, 신축 중심의 수요 집중과 ‘좋은 집 한 채’ 선호 흐름이 지속되며 강남권의 자산가치가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모습이다. 부동산중개업계에서는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급등한 강남3구 집값이 유지되는 바람에 이같은 호가의 총합 비중은 당분간 지속될 수도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 서울 아파트 시총 1,732조…이 중 744조가 강남3구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달 25일 기준 서울 전체 아파트 매매 시가총액은 1,732조4,993억 원, 이 가운데 강남3구의 시총은 744조7,264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서울 시총의 43.0%에 해당한다.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비중이다.
각 구별로는 ▲강남구 312조4,805억 원 ▲송파구 221조7,572억 원 ▲서초구 210조4,888억 원으로, 세 지역 모두 서울 내 시총 상위권을 형성하고 있다.

■ 서울 평균보다 두 배 빠른 상승률
강남3구의 시총 비중은 지난해 1월 41.0%를 기록하며 처음으로 40%선을 돌파한 뒤, 올해 1월 42%대에 이어 다섯 달 만에 다시 43%를 돌파했다.
이같은 상승은 강남3구 아파트값이 서울 평균보다 훨씬 빠르게 오르고 있음을 의미한다. 지난달 기준 서울 전체 시총은 전년 동월 대비 13.1% 상승했으나, 강남3구 시총은 1년 새 17.7% 증가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 기준으로 올해 1월부터 6월 23일까지 ▲서울 전체 아파트값은 3.13% 상승한 반면, ▲강남 7.84% ▲서초 7.14% ▲송파 8.58%를 기록했다. 서울 평균의 두 배 이상 상승률이다.
부동산중개업계에서는 이같은 변화가 당분간 유지될 수 있다고 내다보고 있다. 윤지해 부동산R114 리서치랩장은 “강남권에는 단지 규모가 크고 고급화된 신축 아파트 공급이 계속되고 있고, 해당 지역은 교육·교통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좋다는 인식이 있어서 여유계측의 수요가 이어질 수도 있다”며 “시총 비중은 일정기간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 서울 시내 집값 양극화 심화…해소 정책 필요
이번 집계는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의 지역 간 격차가 더 벌어지고 있다는 신호로도 해석된다. 실제로 비강남권 지역은 거래 정체와 수요 둔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이 때문에 강남권 중심 수요 쏠림 현상과 부작용에 대한 정책적 균형 대응 필요성이 제기된다.
부동산 개발업계에서는 “단순 규제 완화보다는 지역별 여건을 고려한 정교한 주택 공급 전략과 비강남권 주거환경의 실질적 개선이 병행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강남3구 #서울아파트시총 #아파트값격차 #부동산R114 #신축쏠림 #수요집중 #강남쏠림 #하우징포스트

✅ [최종 팩트·스타일북 기준 점검표]

점검 항목적용 내용

시점 표현‘지난달’, ‘이달’, ‘2023년 1월’ 등 기사 작성일 기준 표현 적용

수치 팩트부동산R114 원자료 기준 수치(시총·비중·증가율) 검증 후 정리

용어 선택‘시가총액’은 ‘시총’으로 병행 사용, ‘똘똘한 한 채’ 표현은 따옴표 사용

문장 구조핵심 정보는 첫 문장에 배치, 문단별 3~5문장 구성 유지

양극화 논의과장 없이 ‘신호’, ‘구조’, ‘우려’ 중심으로 해석 제한

해시태그주제별 인덱스 반영 완료 (#강남3구, #아파트값격차 등)

박영신 대기자님, 본 출고본은 연합뉴스 원보도와 부동산R114 원자료를 교차 확인하여 모든 수치와 해석 표현을 점검하였습니다.
원하시면 워드 또는 편집용 문서로도 제공 가능합니다. 추가 보완 또는 후속 기사로 연결 원하시면 이어서 지원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