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아파트 입주율 및 미입주 사유(자료=주택산업연구원)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서울 아파트 입주율이 90%를 넘어섰다. 2년 9개월 만의 회복세다. 반면 지방의 입주율은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지며 입주 양극화가 뚜렷해졌다. 전문가들은 서울을 중심으로 한 매수세 집중과 대출 규제 차별이 지방 입주 경색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진단한다.

주택산업연구원이 10일 발표한 ‘2025년 3월 전국 아파트 입주율 조사’에 따르면, 서울의 입주율은 90.6%로 전월 대비 9.5%포인트 상승했다. 2022년 7월(93.1%)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수도권 전체도 81.5%로 전월보다 1.3%포인트 올라, 3개월 연속 회복 흐름을 보였다. 봄 이사 수요와 새 학기 효과, 그리고 강남권의 토지거래허가구역 일시 해제 등이 상승 배경으로 꼽힌다.

그러나 지방은 전반적인 부진세가 심화됐다. 비수도권 입주율은 55.1%로, 전월(68.3%) 대비 13.2%포인트 하락하며 2017년 통계 집계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5대 광역시는 전월 69.6%에서 49.6%로 20%포인트 가까이 하락했다. 대전·충청권은 73.0%에서 51.7%, 제주권은 75.7%에서 57.0%, 대구·부산·경상권은 69.1%에서 58.3%로 내려앉았다.

4월 전국 아파트 입주 전망 지수 추이(자료=주택산업연구원)

전국 평균 입주율은 59.8%로, 전월 대비 10.6%포인트 하락했다. 입주 지연 원인 중 가장 큰 비중은 기존 주택 매각 지연으로, 40.7%를 차지해 전월(31.0%) 대비 9.7%포인트 증가했다. 잔금 대출 미확보(31.5%)와 세입자 미확보(13.0%)는 각각 소폭 감소했고, 분양권 매도 지연은 7.4%로 늘었다.

한편 4월 전국 아파트 입주전망지수는 87.5로 전월보다 13.7포인트 상승했다. 수도권은 86.4, 광역시는 92.2, 도지역은 84.5로 모두 개선됐지만, 조사 시점이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이전인 만큼 관망세 확산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주택산업연구원 관계자는 “현재 수도권과 지방의 입주 격차는 단기 수급 문제가 아니라 금융규제와 정책지원 차이에서 비롯된 구조적 현상”이라며 “지방 주택시장을 위한 차등적 금융지원과 세제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