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서울 아파트 시장의 양극화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 강남권과 비강남권 간 가격 격차가 확대되면서 주거 불균형이 구조적으로 고착화하는 양상이다.
3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이연희 의원(더불어민주당·충북 청주시흥덕구)이 한국부동산원에서 제출받은 '2024년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지난해 서울 서초구 아파트의 평균 실거래가는 25억1,800만 원으로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았다.
강남구(24억8,300만 원), 용산구(22억5,700만 원), 송파구(16억7,500만 원), 성동구(14억1,700만 원), 마포구(12억9,100만 원)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서초구의 평균 실거래가는 지난해 1월 21억3,600만 원에서 8월 27억2,500만 원까지 급등했다. 이후 9~11월 25억 원대로 조정됐으나, 12월에는 다시 27억5,900만 원을 기록했다. 강남구도 8월 26억9,300만 원까지 올랐다가 9월 25억2,200만 원으로 하락했다. 히지만 10월부터 26억 원대를 유지하며 강세를 이어갔다. 용산구는 9월 29억1,000만 원까지 상승하며 30억 원 돌파를 목전에 뒀으나, 이후 조정을 거쳐 12월 20억7,300만 원으로 마무리됐다.
그러나 도봉구 지난해 평균 실거래가는 5억5,400만 원으로 강남구와 약 5배의 차이를 보였다. 이어 강북구(6억700만 원), 노원구(6억1,000만 원), 금천구(6억2,100만 원), 중랑구(6억2,800만 원), 구로구(6억7,300만 원) 등 비강남권 지역에서는 평균 10억 원을 넘지 못했다.
#서울아파트 #부동산양극화 #강남집값 #도봉구아파트 #주택시장격차 #부동산정책 #아파트실거래가 #서울집값현황 #대출규제 #주택공급 #하우징포스트
서울 25개 자치구 중 12개 구의 평균 실거래가가 10억 원 이하로 나타나면서 강남권과 비강남권의 가격 격차가 더욱 확대되는 모습이다.
부동산 중개업계는 "서울 아파트 가격의 양극화 심화는 상대적으로 교육·교통 인프라가 양호한 강남권에 대한 선호 현상이 지속되기 때문"이라며 "이같은 주택 시장 내 양극화는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9월 대출 규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이후에도 강남권 아파트 가격 상승세가 유지된 점이 주목된다. 강남권은 자산 여력이 충분한 수요층이 대출 없이 매입하는 경우가 많아 규제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점도 작용한다. 반면 비강남권에서는 대출 규제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으며 가격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시장 내 양극화가 더욱 심화하는 양상이다.
이에 따라 정부와 국회의 대응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공급 확대 및 금융 정책 조정 등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 주택 시장의 가격 균형을 맞출 필요성이 커지고 있기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