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6.27 대출규제 이후 상승폭 둔화세를 보이고 있다. 사진은 서울 도심 아파트 단지 전경.(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3주 연속 둔화됐다. 강남3구와 성동, 용산, 마포 등 ‘한강벨트’ 주요 지역에서 상승폭이 빠르게 줄고 있으며, 분당, 과천 등 경기권까지 진정 흐름이 확산되고 있다. 금리 고점 국면과 대출 규제의 병행 효과가 누적되면서 주택시장의 관망세가 점점 더 짙어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강남, 성동, 마포 등 주요 지역의 상승폭은 급속히 둔화하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17일 발표한 ‘7월 둘째 주(14일 기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0.19% 상승해 전주(0.29%)보다 상승폭이 줄었다. 서울 아파트값은 6월 다섯째 주부터 3주 연속 오름폭이 둔화되는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 동남권(강남3구 포함)은 0.26%로 전주(0.37%) 대비 0.11%포인트 낮아졌다. 강남구는 0.15%(전주 대비 0.19%포인트 하락), 서초구는 0.32%(0.16%포인트 하락), 송파구는 0.36%(0.02%포인트 하락), 강동구는 0.22%(0.07%포인트 하락)를 각각 기록했다.
성동구는 0.70%에서 0.45%로, 마포구는 0.60%에서 0.24%로 상승폭이 크게 줄었고, 용산구 역시 0.37%에서 0.26%로 상승세가 약화됐다. 양천구는 0.55%에서 0.29%로, 영등포구는 0.45%에서 0.26%로 각각 상승폭이 둔화됐다.

서울 외 수도권 주요지로도 상승폭 둔화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 과천시와 성남 분당구 등은 직전까지 상승세가 두드러졌던 지역이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상승폭이 눈에 띄게 줄었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금리 고점 지속과 함께 6.27 대출규제 이후 실수요자의 매수 접근이 제한되고 있다”며 “서울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형성됐던 기대감이 점차 꺾이며, 전체 시장은 관망 국면으로 이동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국 아파트값은 0.02% 올라 전주(0.03%)보다 상승폭이 소폭 줄었다. 인천은 0.09%에서 0.04%로, 경기도는 0.14%에서 0.09%로 상승폭이 둔화됐으며, 지방은 보합(0.00%)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