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연말 개통된 비수도권 최초 광역철도 대경선(경산~대구~구미) 열차 모습.(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가 대구·경북 지역을 ‘하나의 생활권’으로 묶는 광역교통계획 수립에 본격 착수했다. 대구시와 경상북도는 기존 철도 인프라를 토대로 총 14건의 신규 사업을 제안하며, 수도권에 대응할 지역 거점권역으로의 도약을 위한 밑그림을 제시했다.

◆ 제5차 시행계획, 대구권 의견 수렴 본격화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위원장 강희업)는 9일 대구테크노파크 동대구캠퍼스에서 ‘제5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6~2030)’ 수립을 위한 대구권 간담회를 개최한다고 8일 밝혔다. 이번 간담회에는 강희업 대광위원장과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을 비롯해 한국교통연구원, 대구정책연구원, 경북연구원 관계자 등이 참석해 광역교통시설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제5차 계획에 반영할 사업을 논의한다.
광역교통시행계획은 '광역교통법'에 따라 5년 주기로 수립되는 법정 계획이다. 수도권, 대구권, 부산·울산권, 광주권, 대전권 등 전국 5대 대도시권을 대상으로 하며, 광역교통시설 확충과 체계 개선을 동시에 다룬다.

◆ ‘안심~하양선’ 중심축에 신규 철도망 제안
대구시는 지방권 최초의 도시철도 연장형 광역철도인 ‘안심~하양선’이 지난 연말 개통돼 안정적으로 운행 중임을 강조하고, 제4차 시행계획에 포함됐던 기존 10개 사업의 추진현황을 점검했다. 이와 함께 광역도로 1건의 신규 반영을 요청했다. 경상북도는 대구1호선의 영천 연장사업 등 기존 3건의 진행 상황을 보고하고, ▲광역철도 9건 ▲광역도로 3건 ▲환승센터 1건 등 총 13건의 신규사업을 제안했다.
대표 사례인 ‘하양~영천 연장선’(연장 5.77km, 정거장 2곳)은 총사업비 2,341억 원이 소요되며, 현재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이 진행 중이다.

◆ 건의사업 14건…B/C 분석·공청회 병행 예정
광역교통시행계획 수립을 맡은 한국교통연구원은 이날 간담회에서 대구·경북이 제출한 14건의 건의사업에 대해 1차 검토를 마쳤다고 밝혔다.
향후 경제성 분석(B/C)을 비롯해 지자체 협의, 공청회 등을 통해 최종 반영 여부를 결정할 계획이다. 현재 시행 중인 제4차 광역교통시행계획(2021~2025)에는 ▲광역철도 47건 ▲광역도로 25건 ▲BRT 12건 등 총 146개 사업이 포함돼 있으며, 전체 투자 규모는 약 44조 원, 국비 기준으로는 28조 원에 이른다.

◆ “광역경제생활권 기반으로 수도권에 대응”
강희업 대광위원장은 “안심~하양선과 대경선 등 주요 노선이 안정적으로 운행 중인 대구·경북은 전국에서도 손꼽히는 철도 인프라 보유 지역”이라고 평가하며, “광역교통망의 촘촘한 연계를 통해 두 지역이 하나의 광역경제생활권으로 성장하고, 수도권에 대응하는 지방 거점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 상반기 중 전국 간담회 마무리 예정
한편 대광위는 이번 대구권 간담회를 포함해 상반기 내 전국 5대 대도시권 간담회를 순차적으로 마무리할 예정이다. 3월 부산·울산권, 4월 광주권을 시작으로 5월에는 대전권(14일), 6월 중에는 수도권 간담회를 개최해 지역별 의견을 수렴하고 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대구경북광역교통망 #제5차광역교통시행계획 #광역경제생활권 #하양선연장 #광역철도확충 #한국교통연구원 #국토부대광위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