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 한국기술사회 정책협약 주요 내용(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하우징포스트=유승찬 기자]
더불어민주당 정보통신특별위원회(위원장 이정헌 의원)는 25일 오후, 서울 광진구 한국기술사회관에서 한국기술사회와 정책협약을 체결하고, 기술사 제도의 정비 및 정책 참여 확대를 위한 실질 협력에 나서기로 했다.

◆ 민주당 정보통신특위, 한국기술사회와 정책협약 체결
이날 간담회에는 이정헌 위원장을 비롯한 특위 위원단과 장덕배 기술사회 회장을 포함한 기술사 30여 명이 참석했다. 양측은 기술인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한 정책 실행 체계를 강화하고, ICT산업을 비롯한 신기술 분야에서 협력의 폭을 넓히겠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더불어민주당 정보통신특위 이정헌 위원장이 25일 한국기술사회와의 정책협약식에서 기술사 제도 강화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서울 광진갑 국회의원실)

◆ 제도화·자문확대·청년육성 등 5대 과제 공동 추진
협약서에는 기술사의 현장 전문성을 국가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5대 실천과제가 담겼다.
이정헌 위원장은 “정책은 책상에서 만들어지지 않고 실무 감각과 현장 경험이 살아 있어야 한다”며 “이번 협약은 기술사와의 동행이자, 기술 주권을 위한 제도적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 정책 플랫폼 넘어 산업 확장…실무 기술 인프라로 주목
민주당은 이번 협약 내용을 '대선 정책공약에 반영'할 계획이다. 기술사 자문단의 제도화는 향후 스마트도시, 에너지 고속도로, AI전력망 등 주요 정책 구상에도 기술 전문가가 직접 참여하는 구조를 예고한다.
실제로 이번 협약은 단순한 직능 협약을 넘어, 국가 기술경쟁력 확보와 산업 현장 중심 정책의 실현력을 뒷받침하는 전략적 기반으로 평가된다. 제도화된 기술사 자문 참여는 공공 인프라 기획, 스마트건설, 산업안전 분야 등에도 연계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산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