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산간·해안 등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투입되는 K-드론배송. 국토교통부는 드론배송을 전국 166곳으로 확대하며, 공공안전·응급물류까지 활용 범위를 넓힌다. (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국토교통부가 드론배송 대상 지역을 166곳으로 확대한다. 지난해 50곳에서 시범 운영되던 K-드론배송 체계를 전국 23개 지자체로 확대하며, 생필품·의약품 배송은 물론 갯벌 감시, 해양쓰레기 수거, 응급물류 등 공공서비스 기능까지 확대된다. 배송 기술을 넘어 지역 맞춤형 생활 인프라로 자리잡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는 2일 지난해 50개 지역에서 시행된 드론배송(K-드론배송) 서비스를 올해 166곳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참여 지자체는 14곳에서 23곳으로 늘었으며, 섬·공원·관광지 등 다양한 지역에서 드론 배송이 이뤄진다. 이번 확대는 드론 배송을 기술 실증 단계에서 생활형 공공서비스로 전환하는 정책적 분기점이다.
K-드론배송은 국토부 가이드라인에 따라 비행로, 배송거점, 실시간 상황관리시스템을 사전 구축해 운영되는 체계로, 지난해에는 총 2,993회(누적 비행거리 1만 635km)의 배송이 이뤄졌다. 올해는 여수·보령·울주 등에서 생필품, 의약품, 음식, 폐의약품 등 배송 품목과 적용 지역 모두 확장되고 있다.
◆ ‘배송’에서 ‘공공안전’으로…생활현장 중심으로 진화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드론이 배송을 넘어 안전·환경·응급 대응의 도구로 활용된다는 점이다. 여수·보령·인천 등에서는 ▲해양쓰레기 수거 ▲해루질 사고 감시 ▲해안선 순찰 등 섬 지역 주민의 일상안전과 환경관리를 위한 서비스로 기능이 다변화되고 있다.
제주 가파도·비양도에서는 해녀가 채취한 성게알·조개류를 육지로 역배송하는 실험이 진행 중이다. ‘역배송’이라는 새로운 유통모델이 섬 주민의 소득 활동과 직결되는 생활 물류로 진화하고 있다.
드론은 군과 의료기관 물류까지도 시야를 넓히고 있다. 대전에서는 국군대전병원과 적십자 대전혈액원이 참여해 15km 거리 혈액검체를 드론으로 운송하는 실증 사업이 이달부터 시작된다.
드론 배송이 ‘고정밀·고위험 공공물류’로도 확장되는 흐름이다.
◆ 제도 기반도 강화…‘기체점검·위험평가’ 의무화
국토부는 드론배송 활성화와 더불어 안전관리 체계도 함께 정비한다는 방침이다. 비행 전 위험평가와 기체 상태 점검을 의무화하고, 한국교통안전공단이 드론배송업체를 직접 점검한다.
단순 확산이 아닌 제도 기반 위에서의 지속 가능한 운용 체계로 전환하려는 것이다.
국토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은 “드론배송의 공공 활용성과 안전 신뢰성을 동시에 높여, 전국 지자체로의 도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