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기준 PF 부실 정리 현황(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금융감독원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문제에 대해 “급한 불은 껐다”고 진단했다.
금감원은 22일 발표한 ‘전 금융권 부동산PF 정리·재구조화 실적’ 브리핑에서, 올해 상반기까지 총 23조9,000억원 규모의 부실 사업장 가운데 12조6,000억원(52.7%)을 정리하거나 재구조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PF 위기, 사실상 진화”…금감원 ‘관리 가능’ 판단
3월 말까지 완료된 정리 규모는 9조1,000억원이며, 2분기 중 3조5,000억원이 추가 정리될 예정이다. 정리 방식은 △중대형 사업장 매각(1조6,000억원) △PF 정상화 펀드를 통한 매각(1조5,000억원) △정보공개 플랫폼을 통한 수의계약 추진(4,000억원) 등이다.
한구 금감원 부원장보는 “부실PF의 뇌관을 제거했다”며 “하반기부터는 대부분 '금융업권'에서 부실 PF 잔액이 1조원 내외로 줄어들고, 자산 건전성 지표도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감원은 또 금융사들이 정상·우량 사업장에 대해서는 신규 PF 대출을 재개할 수 있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부실은 떨쳐내고 우량 자산은 채워 넣으라는 신호”라는 설명이다.
◆ "정리 속도 느려…상호금융권 ‘부실 덩어리’ 여전"
하지만 업계에서는 “위기의 절반을 넘겼을 뿐”이라는 반응도 적지 않다. 금감원이 지난해 말 제시했던 상반기 정리 목표는 16조2,000억원이었다. 그러나 실제 집계된 정리 규모는 12조6,000억원으로 3조6,000억원가량 부족하다. 금감원은 대주단 교체, 인허가 지연, 사업지 용도변경 등 절차적 이슈를 그 원인으로 들고 있다.
특히 금융권 내에서도 부실이 가장 집중된 상호금융권의 정리율은 36.2%(4조2,000억원)에 그쳤다. 그중에서도 새마을금고는 단일 기관 기준 가장 큰 부실 비중을 안고 있다. 정리되지 않은 금액은 7조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금감원은 “하반기부터 공동 매각 유도, 충당금 추가 적립 등을 통해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 ‘파킹거래’ 의혹도…“장부상 정리, 실물은 그대로”
보다 심각한 문제는 부실 정리 방식에 대한 시장의 신뢰 저하다. 일부 금융사들이 수익증권을 동원해 신규 펀드를 조성하고, 기존 PF 부실 자산을 이 펀드에 넘겨 회계상 정리 처리하는 이른바 ‘파킹거래(parking deal, 부실을 일시 이전해 손실 확정을 늦추는 방식)’가 확산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러한 방식은 공사 완료나 분양 성과 없이도 만기 연장을 가능케 하며, 부실 여부를 장부상 숨기는 효과를 낳는다. 시장에서는 “실제 리스크를 덮어둔 채 시기를 미루는 조치”라는 비판이 제기된다.
황보창 한국기업평가 연구위원은 “PF 사업장의 진정한 정상화는 준공과 분양까지 이뤄져야 가능하다”며 “이번 정리는 시간 벌기 수준이며, 건설경기 회복이 지연될 경우 2027년 전후로 2차 위기가 재현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PF위기 #금감원발표 #상호금융부실 #파킹거래 #건설시장불안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