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선정 한 10곳의 '지역활력타운' 중 한곳인 전남 강진군 '숲속품애 마을' 개념도(자료=국토교통부)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정부가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지역활력타운’ 사업을 본격화한다.
국토교통부는 21일 교육부, 행정안전부, 문화체육관광부, 농림축산식품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8개 부처와 함께 ‘2025년 지역활력타운 조성사업’ 공모 결과를 발표하고, 강원 태백을 비롯한 10곳을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지역활력타운은 주거, 일자리, 생활인프라, 돌봄, 문화·체육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를 하나의 공간에 통합한 ‘복합정주모델’이다. 지난해 처음 도입된 이 사업은 정주 여건 개선과 실질적 인구 유입을 목표로 한다. 정부는 선정 지역에 최대 20억 원의 국비를 지원하고, 지방자치단체가 자율적으로 선택한 부처별 연계사업과도 함께 추진한다.

올해 선정된 지역은 강원 태백, 충북 증평, 충남 부여·청양, 전북 순창·장수, 전남 강진·영암, 경북 예천, 경남 하동 등 10곳이다. 이들 지역은 모두 우수한 입지와 지역 특화 전략, 인구 정착 여건 등이 두루 고려됐다.

태백과 증평, 예천 등은 산업단지 인근의 일자리와 연계해 직주근접형 주거단지를 조성하는 방식으로 청년 정착 기반을 마련한다. 태백은 청정에너지 산업단지에 맞춰 임대주택 44가구와 시니어 체육시설을 건립하고, 증평은 청년 근로자 대상 연립주택과 타운하우스를 공급한다. 예천은 도시첨단산업단지 인근에 청년·신혼부부 임대주택과 유아친화형 체육시설을 함께 조성할 계획이다.

국토부가 발표한 '2025 지역활력타운 조성사업' 선정 결과.(자료=국토교통부)

청양과 장수는 지역 자산과 연계한 체험·체류형 모델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청양은 정산면에 가족체류형 주거단지와 탁구 훈련장을 조성해 초·중·고교 스포츠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장수는 청정 산악환경을 활용한 산악레저와 휴양문화 콘텐츠를 기반으로 주택 80가구와 커뮤니티 공간을 마련한다.

전남 강진은 대학 유휴부지를 활용한 청년 창업 지원형 단지를, 영암은 도시개발지 내 친환경 스마트타운을 조성한다. 순창은 은퇴자와 귀촌인을 위한 공공임대 및 단독주택 중심의 ‘맞춤형 정주마을’을 내세웠다. 하동은 지역 대표 특산물인 딸기를 활용해 에코빌리지형 귀농·귀촌 정착 모델을 제시했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10월까지 지방시대위원회 심의를 거쳐 지자체와 중앙부처 간 협약을 체결하고, 오는 2028년까지 기반시설 조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김지연 국토정책관은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선 정부와 지자체의 협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국토부는 지역활력타운 사업이 각 지역에 실질적인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되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지역활력타운 #지방소멸대응 #국토부정책 #청년정주정책 #귀촌활성화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