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대응 통합체계(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국토교통부가 전기차 화재 대응의 골든타임을 확보하기 위한 실시간 자동신고 체계를 시범 도입한다. 전기차 배터리 이상을 자동 감지해 관할 소방서로 즉시 연결되는 체계를 통해, 초기 진압 가능성을 높이고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 배터리 화재 징후 감지되면 자동으로 119 신고
국토부는 21일부터 소방청, 한국교통안전공단, 현대차·기아, BMW코리아와 함께 ‘전기차 배터리 이상 감지 시 화재신고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지난해 8월 인천 청라 전기차 화재 사고를 계기로 마련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의 후속 조치다. 시범 체계는 차량이 운행, 충전, 주차 중 언제든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가 포착되면 고객센터로 자동 통보된다. 이어 관할 소방서에 유선으로 신고가 이뤄지며, 차량의 연락처·차종·번호·위치 등 정보도 함께 제공된다. 차량 소유자에게는 전화와 문자로 위험 상황이 즉시 안내된다.

◆ 현대차·BMW 전기차 4만 대 대상…참여 차종 확대 예정
이번 시범사업에는 현대차 아이오닉5, 기아 EV6, BMW iX 시리즈 및 MINI 전기차 등 총 4만 대가 우선 포함된다. 참여 차량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에 주차 중 상태 모니터링 및 통신 기능이 탑재돼 있어야 하며, 소유자가 개인정보 및 위치정보 제공에 동의한 경우에 한해 해당된다.
국토부는 사업성과에 따라 대상 차종과 제조사를 점차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실증 데이터, 국제 기준 마련에 활용…화재 대응 매뉴얼도 보완
시범 운영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소방청과 자동차 제조사가 공동 분석해 ‘전기차 화재 대응 매뉴얼’에 반영할 예정이다. 특히 배터리 화재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신고가 이뤄지는 특수상황 등 다양한 사례를 포함해 현장 대응의 정교함을 높일 방침이다. 또한 국토부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은 실증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기차 안전성 관련 국제기준 마련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국토부 김홍목 모빌리티자동차국장은 “신속한 화재 대응 체계 구축은 국민 안전을 위한 핵심 요소”라며 “정확한 감지와 실시간 대응 체계를 통해 전기차에 대한 국민 신뢰를 높이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