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이 진행 중인 주택 단지. 본 기사 내용과는 무관함.(사진=하우징포스트 DB)

[하우징포스트=문승용 기자]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가운데, 지난해 금융당국이 6조5천억원 규모의 부실 PF 사업장을 정리·재구조화했음에도 불구하고 2금융권 연체율이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부동산 PF 상황 점검회의'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기준 2금융권 토지담보대출(토담대) 연체율은 21.7%로, 전년(7.15%) 대비 3배 가까이 치솟았다.
금융당국은 "사업장 부실화와 금융 환경 악화가 맞물리면서 연체율이 급등했다"며, 추가적인 구조조정과 자금 지원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한편, 전 금융권의 PF대출 연체율은 3.42%로 소폭 하락했으며, 금융당국은 PF 대출 계약 연장 사유 확대, 자기자본비율이 높은 사업장에 대한 보증료 인하 등 ‘책임준공 개선방안’을 4월부터 시행할 계획이다.

◆상상인저축은행, 강제 구조조정 조치
부동산 PF 대출 부실이 심화되면서 저축은행 업계도 강도 높은 구조조정에 돌입했다. 금융당국은 업계 10위 상상인저축은행에 ‘적기시정조치’ 1단계를 적용해 경영개선 권고를 의결했다.
적기시정조치란 금융당국이 부실 금융회사에 내리는 강제 조치로, 상상인저축은행은 부실자산 매각, 배당 중단, 자본 확충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을 진행해야 한다.
상상인저축은행의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은 지난해 말 26.9%로 급등했으며,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 역시 28.62%를 기록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전반의 건전성 위기를 우려하며, 추가적인 증자와 자산 건전성 강화를 주문하고 있다.
이번 조치는 지난해 안국·라온저축은행에 이어 대형 저축은행까지 적기시정조치 대상에 포함되면서 업계 전반의 추가 구조조정 가능성을 시사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2011년 저축은행 사태와는 다르지만, 부실 금융사에 대한 강도 높은 증자·부실채권 매각 조치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부동산PF #금융위기 #2금융권 #연체율급등 #토담대 #PF대출 #저축은행위기 #상상인저축은행 #구조조정 #부실채권매각 #금융당국대응 #재구조화 #부동산시장

◆금융당국, PF 부실 대응 속도
금융당국은 부동산 PF 시장 연착륙을 위한 정리·재구조화 작업을 가속화할 방침이다.
지난 1월 구축된 ‘PF 사업장 정보공개 플랫폼’을 통해 14개 사업장(5천억원 규모)에 대한 매각 협상이 진행 중이며, 오는 26일 맞춤형 매각설명회를 추가 개최할 예정이다.
아울러, 금융당국은 대출 약정액 500억원 이상인 중·대형 PF 사업장에 대해 사업장별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11개 사업장(1조3천억원 규모)의 매매 계약 체결이 가시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올해 상반기 내 정리가 미흡한 금융사에 대해 현장점검을 강화하고, PF 구조 개선 및 위기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 개편을 마무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지난해 정리·재구조화가 완료된 6조5천억원 규모의 부실 여신 중 주거 사업장 여신(3조7천억원)이 향후 약 4만7천 가구의 주택공급을 촉진할 것으로 예상되며, 추가적으로 약 9만2천 가구의 공급 효과가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