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에너지건축물(ZEB) 주요 적용기술.(사진=경기도 제공).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국토교통부와 조달청이 공공건축물의 탄소중립 실현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두 기관은 28일 오전 서울지방조달청에서 제로에너지건축물(ZEB) 보급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공공건축물의 온실가스 감축과 에너지 절감형 설계 확산, 정책적 협력 강화를 주요 골자로 한다.

ZEB(Zero Energy Building)는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를 최소화하고,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해 실질적인 에너지 자립을 구현하는 고성능 건축물이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ZEB 확대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최적 설계 기반 마련 ▲정책 협력 및 제도 이행 등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국토부는 올해부터 연면적 1,000㎡ 이상 교육, 업무, 문화, 숙박 등 17개 용도의 공공건축물에 대해 ZEB 의무 등급을 5등급에서 4등급으로 상향했다. 공공이 선도적으로 고성능 친환경 건축을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조달청은 총사업비 200억 원 이상 공공 건축사업 또는 국고보조 30억 원 이상 시설사업을 대상으로 ‘설계적정성 검토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해당 제도는 설계 단계별로 계획을 점검하고, 예산 및 시설 규모의 적정성을 검토·보완하는 절차다.

임기근 조달청장(오른쪽)과 진현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왼쪽)이 '공공건축물 탄소중립 실현 및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조달청)

두 기관은 이번 제도와 국토부가 한국에너지공단과 함께 추진 중인 ‘ZEB 최적화 컨설팅’을 연계해 기술 검토와 경제성 분석을 종합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ZEB 성능 향상과 동시에 공사비 절감을 유도한다는 구상이다. 또한 건축물 유형별로 최적 설계 기준을 마련하고, 의무등급 상향에 따른 공사비 영향도 체계적으로 분석해 정책에 반영할 예정이다.

진현환 국토교통부 제1차관은 “탄소중립은 국가적 과제이며, 공공이 먼저 데이터를 축적하고 경험을 쌓아 민간으로 확산시켜야 한다”며 “경제 여건을 고려한 비용 절감 방안도 함께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임기근 조달청장은 “탄소중립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흐름”이라며 “공공건축물이 고성능 친환경 건축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최적 설계와 ZEB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