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지역 6억 이하, 15억 초과 아파트 실거래 비중 추이.(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하우징포스트=유승찬 기자]
서울 아파트 시장에서 15억 원 초과 거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대출 규제 속에서도 자금력이 있는 수요층이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수도권 상급지로 몰리면서, 중저가 아파트 거래는 급감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15억 초과 거래 2년 만에 10%P 증가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하반기 서울 아파트 매매 계약 중 '15억 원 초과 거래 비중은 23.8%'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하반기 13.7% 대비 10%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반면 6억 원 이하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4%로 2022년 하반기(46.3%) 대비 절반 이상 줄었다. 대출 규제 강화와 함께 ‘똘똘한 한 채’ 전략이 시장을 주도하면서, 중저가 아파트의 거래가 위축된 것으로 분석된다.

◆강남·과천·성남 중심으로 매수 집중
지난해 하반기부터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2단계 시행 등 가계부채 관리가 강화되면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수요층은 시장에서 이탈하고, 반대로 자금력이 있는 매수자들은 강남3구와 수도권 핵심 지역으로 집중했다.
수도권에서도 15억 원 초과 아파트 거래가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다. 경기 성남·과천을 중심으로 2022년 하반기 2.5%였던 15억 초과 거래 비중이 지난해 하반기 7.8%로 3배 이상 확대됐다.
반면 6억 원 이하 거래 비중은 78.5%에서 56.3%로 2년 만에 22.2%포인트 감소했다. 대출 의존도가 높은 중저가 시장은 위축된 반면, 자산 여력이 있는 수요층이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매수를 이어간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아파트 #강남아파트 #고가아파트 #수도권부동산 #15억초과거래 #중저가아파트 #부동산시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