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23년~2024년 분기별 '서울 아파트 전월세 거래' 비중. (자료=부동산R114 )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서울 아파트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 거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4분기 서울 아파트 임대차 계약 중 월세 비중이 44%를 기록하며 최근 2년 내 최고치를 경신했다. 전세 사기와 전셋값 상승, 전세대출 규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월세 전환 흐름이 뚜렷해지는 모습이다.
부동산R114가 2023~2024년 서울 아파트 전월세 실거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4분기 서울 아파트 임대차 계약에서 전세 거래는 3만112건(56.0%), 월세 거래는 2만3,657건(44.0%)으로 나타났다. 월세 비중은 전분기보다 3.3%포인트 증가했으며, 최근 2년 내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부동산중개업계는 월세 거래 증가의 주요 요인으로 △전세 사기 사태 △전세가 상승 △전세대출 규제 △신축 아파트 입주 물량 감소 등을 꼽는다. 특히 지난해 4분기 월세 계약 중 갱신 계약 비중이 31.6%로 2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 신규 계약보다 기존 계약을 연장하는 임차인이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서울 송파구 '헬리오시티' 단지의 경우에서도 전세가 상승세가 확인된다. 전용면적 84㎡의 평균 전세보증금은 2023년 1분기 8억1,000만원에서 지난해 4분기 10억원으로 23% 상승했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전세 가격이 오르면 수요는 자연스럽게 반전세나 월세로 이동한다"며 "당분간 '전세의 월세화' 흐름이 지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