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조치원 문화정원'이 세종특별자치시 최초의 우수건축자산으로 등록됐다.
국토교통부와 세종시는 6일, 조치원 문화정원을 비롯해 조치원 아트센터 1927, 장욱진 생가 등 3곳을 세종시 우수건축자산으로 지정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전국 우수건축자산은 총 27곳으로 늘어났다.
세종시는 ‘제2차 건축자산 진흥 시행계획’ 수립 과정에서 이들 건축물을 발굴하여 도시건축 및 지역문화 자산으로 보존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따라 해당 건축물들은 건폐율, 조경 면적, 부설주차장 설치 등의 건축규제 완화 혜택을 받는다. 기존 건물을 보존하면서도 지역 거점으로 재탄생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목적이다.
◆ 역사적 건축물의 문화적 변신
등록된 건축자산 중 제1호로 지정된 ‘조치원 문화정원’은 1935년 정수장으로 건립됐으며, 2013년 폐쇄된 후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새롭게 조성됐다. 기존 정수장의 구조를 보존하면서 전시, 체험, 휴식 공간으로 재해석한 것이 특징이다. 과거 물이 가득 차 있던 지하 저수시설은 전시공간으로 탈바꿈해, 벽면에 남아 있는 물때 흔적과 함께 독특한 미적 감각을 제공한다. 정수장 기계실은 목조 천정 구조와 창틀을 그대로 살린 카페로 활용되고 있다. 조천과 벚나무 등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세종시의 대표적인 랜드마크로 자리 잡았다.
제2호로 지정된 ‘조치원 아트센터 1927’은 1927년 섬유공장으로 건립된 후 제지공장 등으로 활용되다 2003년 폐쇄됐다. 이후 20년간 방치되었으나 2017년 세종시가 매입하여 2022년 문화거점 공간으로 복원됐다. 근현대 공장에서 전형적으로 쓰인 목조 트러스 구조 등 기존 건물의 흔적과 자재를 최대한 살렸으며, 외부 공간은 공원으로 꾸며졌다. 현재 공연, 전시, 카페 등 다양한 문화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다.
제3호인 ‘장욱진 생가’는 한국 근현대미술의 거장으로 알려진 장욱진 화백의 생가다. 1905년에 건립된 이 주택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근대 문화·역사적 가치가 높은 건축물로 평가된다. 현재 생가 복원과 장욱진 기념관 조성이 추진되고 있으며, 향후 세종시의 문화적 자산으로 더욱 활용될 전망이다.
◆국토부, 건축자산 보존·활용 확대 계획
국토교통부는 전국적으로 6,624개의 건축자산을 조사하여 보존·활용 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올해 ‘제3차 건축자산 진흥 기본계획(2026~2030)’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 계획에는 건축자산이 도시건축, 문화, 관광 거점으로 기능할 수 있도록 실효적인 제도 개선 방안이 포함될 예정이다.
한옥 등 건축자산 진흥에 관한 법률이 2015년 6월 시행된 이후 10년 가까이 지났지만, 전국의 우수건축자산 등록은 아직 27곳에 그치고 있다. 지자체의 발굴·등록이 활발하지 못한 이유는 예산 부족으로 인한 재정적 지원의 한계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토교통부 장우철 건축정책관은 “역사와 정체성을 간직한 건축자산은 지역 발전의 중요한 요소”라며, “방치된 건축물을 적극적으로 보존·활용하여 쇠퇴하는 도시를 재생하고 지역에 활력을 불어넣겠다”고 강조했다.
세종시 이두희 도시주택국장은 “우수건축자산을 꾸준히 발굴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해 세종시의 건축문화 수준을 높이겠다”며 시민들의 관심을 당부했다.
#세종시 #건축유산 #우수건축자산 #조치원문화정원 #아트센터1927 #장욱진생가 #문화재생 #도시건축 #국토교통부 #건축자산보존 #건축문화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