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재열 단국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1994년 10월 21일, 서울 성수대교 붕괴 사고는 한국 사회에 깊은 충격을 남겼다. 출근길 직장인과 등교 중 학생 등 32명의 목숨을 앗아간 이 사고는 시설물 안전 관리의 심각한 문제를 드러낸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다. 사고 후 30년이 지난 지금, 우리는 시설물 안전 문제를 얼마나 극복했을까?
전재열 단국대학교 건축학부 명예교수는 최근 '성수대교 붕괴 30주년 세미나 '를 통해 “성수대교 붕괴 30주기를 맞아 시설물 안전 관리를 근본적으로 혁신해야 한다”며,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기반 통합 관리 플랫폼 구축을 제안했다. 그는 현재 시설물 관리 체계의 한계를 진단하며, 정부를 향해 '국민 안전을 위한 구체적 대안'을 내놓았다.
◆ "스마트 기술로 안전 혁신 이루자"
전 교수는 IoT, AI,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등 스마트 기술을 시설물 안전 관리에 적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IoT 센서를 활용해 교량의 균열이나 진동 변화를 지속적으로 추적하면, 구조적 결함 발생 전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디지털 트윈 기술을 활용하면 시설물의 가상 모델을 통해 유지보수 계획을 시뮬레이션하고, 예상되는 고장을 사전에 파악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AI 기반 예측 시스템은 시설물의 열화 상태를 분석해 최적의 점검 시기를 제안할 수 있다”며, 스마트 관리 체계로 전환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했다.
◆"법과 제도로 안전을 뒷받침해야"
전 교수는 시설물 안전 강화를 위해 법적·제도적 정비를 시급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30년 이상 된 노후 시설물은 반드시 '5년마다 정밀안전진단'을 받도록 법제화하고, 중대결함이 발견되면 즉각 보수를 시행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현재 '최대 5년까지 허용되는 보수 기한을 단축'하고, '긴급 보수 체계를 구축'해야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노후화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이고, 국민의 안전을 실질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 "통합 관리 기구로 효율성을 높여야"
전 교수는 시설물 안전 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통합 관리 기구(Control Tower) 설립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모든 시설물의 데이터를 통합 관리할 디지털 플랫폼을 구축하면, 실시간으로 안전 상태를 분석하고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진다”고 설명했다.
또한, 시설물 사고 발생 시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전문 재난 대응팀 운영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중앙에서 안전 관리와 재난 대응을 총괄하는 시스템이 있어야 국민 안전이 보장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