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구 신월동 310번지 일대 10단지 위치도.(자료=서울시 제공)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서울 양천구 목동 4단지와 10단지의 재건축 계획이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의 정비계획 및 경관심의를 통과하며, 장기간 지체됐던 목동권 재건축 사업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게 됐다.
서울시는 21일 제4차 도시계획위원회 수권분과 회의를 열고, 두 단지의 정비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2일 밝혔다.

◆ 목동 재건축, 오랫만에 첫 관문 통과
목동 4단지는 최고 49층, 총 2,436가구(공공임대 293가구 포함)로 재건축되며, 10단지는 최고 40층, 총 4,050가구(공공임대 525가구 포함) 규모로 탈바꿈한다.
두 단지를 합치면 총 6,486가구에 이르는 대단지로, 양천구권역에서는 '신도시급 도심 고밀 재건축'이 현실화되는 사례가 될 것으로 보인다.

목동 4·10단지 재건축사업 개요(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 신속통합기획 적용…입체적 생활 인프라 결합
서울시는 해당 사업에 ‘신속통합기획’을 적용해 도시계획 수립부터 정비구역 지정까지 행정 절차를 통합 운영했다. 정비계획에 따르면, 두 단지는 용적률 300% 이하 기준으로 설계되며 △근린공원 조성 △공공보행통로 확보 △지하 공용주차장 △노인복지시설(데이케어센터) 등 다양한 공공시설이 포함된다.
목동 4단지는 오목교역과 목동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남측 국회대로 상부공원화 사업과도 연계된다. 10단지는 신정네거리역 인근으로, 인접한 초중학교 및 근린공원과의 보행 동선을 확보해 중심지구와 외곽을 연결하는 구조로 조성된다. 서울시는 “복지 수요와 환경 계획을 고려한 도심형 입체 단지의 대표 사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공급 늘지만, 생활 인프라 여전히 과제”
업계는 이번 심의 통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실질적인 생활 여건 개선으로 이어지기 위해선 후속 대책이 필요하다는 반응이다.
정비사업 컨설팅 전문가들은 “목동 전체를 하나의 생활권으로 통합할 마스터플랜 없이 개별 단지별 정비계획이 추진되면, 공원이나 복지시설이 단절되거나 중복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재건축 추진위 한 관계자는 “6,000가구 이상의 신규 수요가 집중되지만, 이에 대한 교통 개선책이나 교육시설 배치 계획은 아직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며, “계획 통과 이후 단계에서 실질적인 정합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 해당 지역은 지하철 2호선과 5호선이 교차하고 있으나, 주변 도로 혼잡과 통학수요 증가에 대한 대책은 별도로 제시되지 않은 상태다.
서울시는 연내 목동 14개 단지 전체에 대한 정비계획 고시를 완료할 예정이며, 이번 심의 통과를 계기로 추가 단지들에 대한 사업 추진도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된다.

양천구 목동 904번지 일대 4단지 위치도(자료=서울시 제공)

◆ “재건축 성공 기준, 이젠 '삶의 질' 개선”
도시정비업계는 목동 4·10단지의 심의 통과를 '도심 고밀 재건축 흐름의 분기점'으로 평가하면서도, '단순한 물량 확대 중심의 접근을 경계해야 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정비업계 한 관계자는 “이제는 ‘얼마나 많이 짓느냐’보다 ‘어떻게 잘 짓느냐’가 중요한 시점”이라며, “고층 아파트가 들어선다고 해서 곧바로 주거환경이 개선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어 “교통, 교육, 보행환경 등 일상의 모든 요소가 종합적으로 개선되어야 진짜 성공 사례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목동재건축 #도시계획심의통과 #신속통합기획 #미니신도시 #생활인프라과제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