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교통부는 2일 국가공간정보위원회(위원장 박상우 장관) 회의를 열고 '2025년 국가공간정보 정책 시행계획'과 '디지털 트윈국토 플랫폼 고도화 방안'을 심의·의결했다. (사진=국토부 제공)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정부가 올해 공간정보 정책사업에 총 5,8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투입한다. 인공지능(AI)을 적용한 디지털트윈 기반 국토관리 체계를 본격 구축하고, 지하침하 등 안전 위험 요소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국토교통부는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총 1,209건의 공간정보 사업을 중앙정부(3,819억 원)와 지방자치단체(2,019억 원) 주도로 추진한다고 2일 밝혔다.
◆ 디지털트윈에 예산 68% 투입…국토관리 체계 전환
전체 예산 중 약 3,993억 원(68%)은 '디지털트윈' 구축과 활용에 집중된다. '디지털트윈'은 실제 공간(도시, 도로, 지형 등)의 구조와 상태를 3차원으로 정밀하게 구현한 '디지털 복제본'이다. 이를 통해 도시계획, 인허가, 재난 대응 등을 사전에 시뮬레이션하고 최적의 정책 결정을 도출할 수 있다.
올해는 디지털트윈 기술을 실무에 적용하는 범위가 확대된다. 대표 사업으로는 ▲디지털트윈 경쟁력 강화(과학기술정보통신부) ▲상수도 GIS 정비(서울시) ▲지하시설물 전산화(익산시) 등이 포함됐다.
2025년 국가공간정보정책 시행계획 사업예산 그래픽.(국토교통부 제공)
◆ 지하침하 위험도 AI 분석…‘스마트 안전지도’ 고도화
지하공간 통합지도에는 지반침하 이력, 공동(空洞) 발생 정보, 홍수 기록 등 다양한 데이터를 연계해 AI 기반 위험 분석 기능이 추가된다. 기존에는 종이지도로만 제공되던 정보를 온라인에서 보안이 적용된 파일로 전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국토부는 “AI가 드론 촬영 영상 등을 분석해 불법 건축물이나 쓰레기 투기 지역을 자동 식별하는 서비스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 Geo-AI 상용화…‘말로 검색하면 지도가 답한다’
공간정보 활용 접근성도 한층 높아진다. 국토부는 사용자 질문을 이해해 지도상에 조건에 맞는 결과를 표시해주는 ‘Geo-AI’ 기반 공간검색 서비스를 도입할 예정이다.
예를 들어, “지하철 도보 5분, 전세 3억 이하, 키즈카페 인근 아파트”라는 조건을 입력하면 Geo-AI가 조건을 분석해 해당 지역을 시각화해 제공하는 방식이다.
◆ 플랫폼 고도화…공공·민간 활용성 함께 강화
국가공간정보통합플랫폼(K-GeoP)과 대국민 서비스 플랫폼인 브이월드(V-World)도 대폭 고도화된다. K-GeoP는 65개 기관에서 수집한 1,200여 건의 공간정보를 통합·관리하며, 브이월드는 이 중 공개 가능한 정보를 민간에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구조, 양자암호 기반 보안 기술, Geo-AI 등의 기술이 도입되면서 공간정보의 정확도와 확장성이 높아질 전망이다.
◆ “AI 기반 공간정보, 국민 삶과 미래산업 핵심 인프라”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공간정보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인프라”라며 “정밀공간정보는 자율주행, 로봇, 도심항공교통(UAM) 등의 상용화를 위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정부와 민간이 협력해 공간정보 기술이 국민의 안전과 생활의 질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공간정보정책 #디지털트윈 #GeoAI #국토정보플랫폼
#브이월드 #지하침하예방 #AI정책 #국토관리혁신
#KGeoP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