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건설 최근 3개월 주가 추이.(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하우징포스트=박영신 대기자]
10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던 정치 테마주의 급등세가 유상증자 실패로 이어졌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관련 테마주로 주목받은 상지건설이 900억 원대 대규모 유상증자를 시도했지만, 투자자들의 반응은 싸늘했다. ‘정치 테마’라는 기대감은 결국 ‘실제 청약’이라는 숫자 앞에서 무력했다.
상지건설은 지난 13일, 총 914억 원 규모의 유상증자 청약 결과 102억 원만 납입됐다고 공시했다. 총 400만 주 가운데 청약된 주식은 약 44만 7천 주로, 청약률은 11.17%에 불과했다. 잔여 물량인 355만 주는 미발행 처리된다. 신주 상장 예정일은 오는 22일이다.
당초 이번 유상증자는 지난 2월, 운영자금과 채무상환 목적의 200억 원 규모로 계획됐다. 당시 주가는 액면가(5,000원) 이하였고, 신주 발행가도 5,000원으로 산정됐다.
그러나 지난달 초 상지건설이 이재명 테마주로 분류되면서 주가는 10거래일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고, 신주 발행가는 22,850원까지 급등했다. 자금조달 규모도 200억 원에서 914억 원으로 확대됐다.

◆ 청약률 11.17%…“주가 급등이 오히려 독이 됐다”
급등한 주가가 신주 발행가에 그대로 반영되면서, 유상증자 참여는 사실상 외면됐다. 기존 주주를 대상으로 한 구주주 청약률은 5.85%, 일반 공모 청약률도 11.17%에 머물렀다. 심지어 일반 공모 당시 상지건설은 두 차례 상한가를 기록했지만, 유상증자 참여를 유도하기엔 역부족이었다.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정치 테마주의 주가 급등은 실제 기업가치나 실적과 무관하게 형성되는 경우가 많다”며 “발행가가 고평가될 경우, 투자자들은 참여하지 않는 것이 자연스러운 시장 반응”이라고 진단했다.

◆ 주주우선공모방식, ‘신주인수권 부여 없는 구조’도 부담
이번 유상증자가 일반적인 ‘주주배정 이후 실권주 일반공모’ 방식이 아닌 ‘주주우선공모’ 방식으로 진행된 점도 투자자 이탈의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 방식은 기존 주주에게도 신주인수권이 부여되지 않기 때문에, 시장에선 ‘투자자 불리 구조’로 받아들여진다.
주식시장 한 전문가는 “상승장에서야 가능하지만, 테마 이슈가 소강 국면에 접어들 경우 이러한 구조는 오히려 악재로 작용한다”고 지적했다.

◆ 정치 테마의 명암…“이제는 실체가 필요하다”
상지건설 주가는 올해 초 3,000~4,000원대에 머물렀으며, 지난달 초까지만 해도 3,000원 초반 수준이었다. 이번 급등은 철저히 정치 테마 프리미엄에 기대어 형성됐고, 그 반작용이 자금조달 실패로 나타났다는 것이 시장의 평가다.
금융시장 관계자는 “정치 테마주는 대선 이후 대부분 제자리를 찾는다”며 “단기 주가 부양에 기대 유상증자를 추진하는 전략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다. 이제는 실적과 실체를 제시할 때”라고 말했다.
#상지건설 #유상증자실패 #정치테마주 #이재명관련주 #청약률저조 #주주우선공모 #자금조달위험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