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가 선정한 올해 ‘스마트도시 솔루션’ 보급 지역. (자료=국토부)

[하우징포스트=임재인 기자]
국토교통부가 1일 발표한 ‘2024년 도로 교통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도로를 하루 평균 통행한 차량은 1,626만 2천 대로 전년보다 1.3% 증가했다. 하루 평균 주행거리는 약 5억 1,600만km, 지구 둘레를 기준으로 하면 12,885바퀴에 해당하는 거리다.

◆ "하루 평균 통행량 급증…스마트 솔루션 확대 필요"
차량은 늘었지만 이동 여건은 나아지지 않았다. 승용차 비중은 전체의 73.2%로 높아졌고, 버스와 화물차는 각각 2.3%, 0.2%씩 감소했다. 도로는 포화 상태에 근접해 있지만, 자가용 중심의 쏠림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 국토부 조사에서도 수도권제1순환선 ‘하남JCT~퇴계원IC’ 구간은 하루 22만 대 이상이 몰리며 교통량 전국 1위를 기록했다.
결국 ‘도로를 얼마나 더 건설할 것인가’가 아니라, ‘기존 도로를 얼마나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가’가 미래 교통정책의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

◆ 국토부,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중소도시 5곳 선정
이러한 상황 속에서 국토부는 같은 날 ‘2025년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 대상지 5곳을 발표했다. 선정된 곳은 △경기 가평군 △강원 홍천군·고성군 △전북 군산시 △경남 합천군 등으로, 모두 교통·안전 인프라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중소규모 지방도시다.
각 지자체는 국비 12억 원씩, 지방비 포함 총 24억 원 규모의 예산으로 교통·안전 분야 스마트 솔루션을 오는 6월부터 본격 구축하게 된다. 국토부는 “체감도 높은 솔루션을 지역 특성에 맞춰 도입함으로써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고,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기반을 확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AI 신호제어부터 드론 감시까지…‘생활밀착형’ 기술 집중
이번 확산사업의 핵심은 단순한 장비 보급이 아니라, AI 기반 실시간 데이터 처리·운영 시스템을 일상에 접목한다는 점이다.
군산시는 △AI 기반 교통신호 실시간 제어 시스템과 △이상음원 감지 기반 지능형 선별관제 시스템을 도입해 정체 해소와 도시안전망 강화를 동시에 추진한다. 고성군은 △해변 안전관리 시스템과 △스마트 주차공유를 연계해 관광지 특화 교통대책을 마련하며, 합천군은 △계류형 드론을 이용한 산불 감시 체계를 구축해 실시간 화재 대응력을 강화할 예정이다.
가평군과 홍천군은 △스마트 버스쉘터 △주차공유 시스템 △스마트폴 등을 통해 교통 약자의 접근성을 높이고, 불법주정차 문제 해결에도 나선다.

◆ “도로 건설에서 운영의 시대로”…국가 교통전략 전환
이번 사업은 국토부가 강조해 온 “시설 중심에서 운영 중심으로의 전환”을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AI 기반 교통제어, 스마트 감시 시스템, 무인관제 인프라 등은 더 이상 대도시 전유물이 아니라, 중소도시의 핵심 운영 인프라로 전환되고 있다.
윤영중 국토부 도시경제과장은 “도시의 디지털 전환은 대도시만의 특권이 아니며, 오히려 지역 기반 스마트 서비스 확산이 교통·안전 불균형 해소의 출발점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