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분석한 '서울 아파트 거래량' 통계. (그래픽=다방)
[하우징포스트=유승찬 기자]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에서 아파트 거래가 한 달 새 90% 넘게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지난 3월 말 토지거래허가구역을 재지정한 이후 매수심리가 급격히 위축되면서, 서울 전역으로 거래절벽 현상이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거래량은 줄었지만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신고가 거래도 이어지는 등 시장 내 '양극화가 동시에 진행'되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바탕으로 부동산 정보 플랫폼 ‘다방’이 분석한 통계에 따르면, 지난 4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총 3,191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직전달인 3월의 9,675건과 비교해 67.0% 줄어든 수치이며, 지난해 같은 기간(4,633건)과 비교해도 31.2% 감소한 수준이다.
가장 두드러진 지역은 토지거래허가구역이 재지정된 강남3구와 용산구다. 서초구는 3월 410건에서 4월 11건으로 97.3% 급감했다. 용산구는 같은 기간 260건에서 11건으로 95.8%, 강남구는 802건에서 37건으로 95.4% 감소했다. 송파구도 865건에서 63건으로 92.7% 줄었다. 해당 지역들은 지난해 4월과 비교해도 모두 80~95% 수준의 감소폭을 기록했다.
거래 위축은 이들 지역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강동구는 한 달 사이 69% 감소했고, 성동구 68%, 동대문구 65%, 동작·종로·중구는 각각 64% 줄었다. 이어 마포구(63%), 광진구(62%), 영등포구(60%), 노원구(58%), 강서·금천구(56%) 등 서울 대부분 자치구에서 동시다발적으로 거래가 급감했다.
시장에서는 거래 급감의 직접적 원인으로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을 지목하고 있다. 거래 시 관할 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 절차적 부담과, 향후 허가 불승인 가능성 등이 심리 위축으로 이어졌다는 것이다. 실수요자들조차 매수를 유보하거나 계획을 재검토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는 현장 반응도 나오고 있다.
그럼에도 일부 인기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는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송파구 잠실 장미아파트와 주공5단지는 82.6㎡가 40억 원을 처음으로 돌파하며 고점을 경신했다. 강남구 압구정동과 개포동, 대치동 등 주요 재건축 단지에서도 실거래 신고가가 속속 확인되고 있다. 시장에서는 “거래는 줄었지만 프리미엄 기대감이 높은 단지들은 여전히 고가에 거래되는 ‘희소성 효과’가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부동산 중개업계에서는 "현재의 거래절벽이 단기간에 해소되기는 어렵다"며 "거래 제한이 강화된 상황에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심리 회복까지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또한 "이번 상황을 단순한 거래량 감소로 보기보다는, 제도 변화에 따른 수요 심리의 구조적 위축"으로 해석한다. 특히 재지정 발표 전후로 회복세를 보였던 거래량이 곧바로 반전되었다는 점에서, 규제의 속도·강도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점검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이다.
#서울아파트거래 #토지거래허가구역 #강남3구 #용산구 #거래절벽 #부동산규제 #재건축시장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