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2023년 귀속 시도별 부동산 임대소득 신고 현황’. 서울 상위 0.1% 임대업자의 연평균 임대소득은 12억9,980만 원으로, 전국 평균(1,774만 원)의 73배에 달했다. (그래픽=하우징포스트 디자인팀)
[하우징포스트=오명근 기자]
서울 상위 0.1% 부동산 임대업자가 1년 동안 벌어들인 평균 임대소득이 13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임대업자 평균(1,774만 원)과 비교하면 무려 73배에 이르는 수준이다. 서울의 임대소득은 전국 상위 0.1% 평균보다도 6억 원 가까이 더 많아, 임대소득 쏠림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전국 평균 대비 73배 격차
박성훈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이 17일 국세청에서 제출받은 ‘2022~2023년 귀속 시도별 부동산임대소득 신고 현황’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전국 임대업자의 1인당 평균 임대소득은 1,774만 원이었다. 전년(1,768만 원)보다 소폭 늘었지만, 지역별 격차는 극명했다.
서울에서는 총 36만370명이 임대소득을 신고했다. 전체 임대소득은 8조8,522억 원, 1인당 평균은 2,456만 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평균보다 38% 높았고, 전년 대비로는 2% 증가했다.
◆상위 0.1% 집중 현상 심화
이 가운데 상위 0.1% 임대업자의 평균 임대소득은 12억9,980만 원이었다. 2022년(12억8,660만 원)보다 1.0% 늘어난 수치다.
전국 상위 0.1% 평균(7억1,842만 원)과 비교하면 1.8배 많았고, 부산(5억3,449만 원)·인천(5억3,063만 원)과는 2.4배, 광주(4억2,360만 원)와는 3.1배 차이가 났다. 경남·경북·대전·충북 등과 비교하면 격차는 4배 이상으로 벌어졌다.
상위 1% 임대업자의 평균 임대소득도 서울은 4억3,025만 원이다. 전국 상위 1% 평균(2억5,570만 원)의 1.7배였다. 상위 10% 구간 역시 서울은 1억2,137만 원으로, 전국 상위 10% 평균(8,043만 원)보다 1.5배 많았다. 상위 구간으로 올라갈수록 서울 집중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다.
◆무주택 가구 절반 넘는 서울
서울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무주택 가구 비율이 50%를 넘는 지역이다. 집값 상승과 대출 규제로 인해 청년·신혼부부·중산층조차 전월세 시장에 머무르는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 이 과정에서 임대업자의 수익은 증가하는 반면, 세입자의 주거비 부담은 커지고 있다.
임대소득 양극화는 단순한 통계 차원을 넘어 주거 불평등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특히 서울 전월세 시장의 구조적 취약성을 지적하며, 임차인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박성훈 의원은 “서울을 중심으로 임대소득이 특정 계층에 집중되는 것은 단순한 수치가 아니라 주거 불평등을 보여주는 구조적 징후”라며 “정부는 주택 공급 확대와 함께 월세 세액공제 강화, 임대차 제도 보완 등을 통해 임차인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임대소득 #서울상위0.1% #주거불평등 #전월세시장 #하우징포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