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영신 하우징포스트 대기자]

세계 10대 건설강국으로 불리는 한국 건설업이 최근 국민 신뢰의 시험대에 올랐다. 잇따른 중대재해 사고와 부패 스캔들이 터지면서 산업 전반의 도덕성과 경쟁력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으로 번지고 있다. 안전 불감증과 구시대적 관행을 이번 기회에 끊어내고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 강하다. 그렇지 못하면 지금까지의 세계적 위상을 지켜내지 못할 수 있다.

◆ 산재·부패가 드러낸 구조적 취약성
지난해 기준 한국 건설업의 사고사망만인율(근로자 1만 명당 사고 사망자 비율)은 1.59로, OECD 10대 경제국 중 가장 높았다. 평균(0.78)의 두 배에 달했으며, 영국(0.24)에 비하면 무려 6.6배나 높다. 현장 노동자들이 세계 어느 나라보다 위험한 환경에 내몰려 있다는 사실을 방증한다.
실제로 최근 현대엔지니어링의 교량 붕괴, 포스코이앤씨의 신안산선 터널 붕괴, DL건설 의정부 아파트 추락사고 등 대형사·중견사의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 단기간에 잇따른 사망사고는 단순한 불운이 아니라 제도와 현장 관리, 기업 문화의 총체적 부실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설상가상으로 서희건설이 전 대통령 영부인에게 명품과 보석을 뇌물로 제공했다는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건설업계는 산재와 부패라는 이중의 굴레에 빠졌다. 산업의 신뢰와 도덕성이 동시에 추락 위기를 맞고 있다.

◆ ‘위기’에서 ‘환골탈태’로
건설업계는 사고가 터질 때마다 임시방편으로 위기만 모면해왔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그러나 이번은 상황이 다르다. 이재명 정부가 ‘산재와의 전쟁’을 공식 선포하고, 면허 취소·공공공사 입찰 제한 같은 강도 높은 행정조치를 예고했기 때문이다. 포스코이앤씨, 현대엔지니어링 등 주요 건설사들이 직접적인 제재 위기에 직면하면서 업계 전반에 “다음은 우리 차례일 수 있다”는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이제 건설산업계 스스로가 변화의 주체로 나서야 한다. 현장 안전관리 체계 강화, 원·하청 구조 개선, 책임 있는 리더십 확보 없이는 근본적 체질 개선이 불가능하다. 부패 리스크 또한 특정 기업의 일탈로 치부할 수 없다. 산업 전체가 나서서 투명성과 윤리를 바로 세워야 한다. 위기는 곧 기회다. 이번 사태를 환골탈태의 계기로 삼지 않는다면, 더 큰 추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경고다.

◆ "전화위복 기회...건설강국 위상 지켜야"
한국 건설업은 과거 중동 붐과 글로벌 프로젝트 성공으로 ‘세계 10대 건설 강국’의 지위를 얻었다. 그러나 그 명성 뒤에는 ‘안전 후진국, 부패 관행’이라는 그림자가 겹쳐 있었다. 이번 기회에 그 그림자를 걷어내야 한다. 지금 필요한 것은 단순한 위기 관리가 아니라 산업 생태계 전반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일이다. 정부의 엄정한 제도 개선과 건설기업들의 자정 노력이 맞물려야만 실질적 변화가 가능하다.

그렇게 된다면 한국 건설업은 국민에게 신뢰받고 사랑받는 산업으로 거듭나고, 세계 시장에서는 안전과 윤리까지 겸비한 건설강국으로 다시 서게 될 것이다. 산재와 부패의 이중 위기 앞에서 한국 건설업이 선택할 길은 분명하다. 이번 기회를 환골탈태의 계기로 삼는 것만이 산업의 미래와 국제적 위상을 지키는 유일한 해답이다.

#건설강국 #중대재해 #건설산업부패 #산재와전쟁 #환골탈태 #한국건설업 #산업안전 #건설정책 #하우징포스트